요즘 날이 춥다보니 발이 아파서 술을 잘 못마시는 편이라

술에 대한 후기를 쓰기가 애매한 시점이다.

 

하지만 꼼수로 마셔도 덜 아픈 술을 찾다보니 걸린게 바로 고량주,

오늘은 수성 고량주중에서 수성 빼갈 36에 대한 후기를 남겨볼까 한다.

 

 

Alc 36%/ 125ml

가격은 4990원. 

 

귀욤뽀짝한 사이즈에 수성 고량주 특유의 부엉이가

인상적인 술이며, 용량 자체가 작은 편이다.

 

조금 큰 고량주나 작은 위스키가 200ml 정도인걸 생각해보면

이 병의 사이즈가 대충 예상이 될걸로 생각된다. 

 

 

 

병입과정에서의 뚜껑에 대한 문제인지

이유는 알수가 없지만 따지도 않았는데 향이 기화해서

세어 나오는 듯 했다. 

 

 

색은 무색 투명

 

향은 상쾌한 배, 사과 같은 과일 향이 나며

향기로운 편이고 약간 단내가 나는 편이다. 

 

 

맛은 처음에는 부드러운 듯한 느낌에

약하게 단맛과 쓴맛이 느껴지다가 뒤에 매운 맛이 나며

고량주 특유의 꾸릿한 맛은 있으나 그렇게 강한 편도 아니다.

 

약간 드라이한 편이며, 전체적으로 깔끔한 끝맺음을 가지고 있다.

 

기름진 음식이나 단 음식과 잘맞거나

아니면 매운탕 같은 얼큰하고 뜨끈한 국과도 잘맞을 것 같은 술이다.

 

물론 나는 중국집 음식과 가장 잘맞는 음식으로 탕수육이나

라조기가 제일 잘 맞을 것 같다. 

 

고량주는 확실히 호불호가 확실할듯한 술이다.

 

하이볼 스타일로 만들면 향과 매운맛은 줄어들것 같다.

4990원치곤 나쁘지 않은 경험이라고 평가하고 싶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드디어 예거 라들러 시리즈의 끝이 왔다.

예거 그레이프프루트 라들러(Egger GrapeFruit Radler) 그냥 예거

자몽 라들러라고 하면 될껄 굳이 그레이프프루트라고 적은 건 좀 이해가 안간다.

 

복숭아 라들러때는 Pfirsich(피을지)라고 안하지 않은가? 

암튼 좀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 

 

복숭아, 청포도, 레몬과 마찬가지로 자몽 역시도

자몽다운색과 자몽이 그려져 있는게 인상적이다.

 

 

Alc 2.5% /500ml

라들러답게 도수가 낮다. 

 

자몽하나로는 맛 자체를 살리기 힘든지 레몬주스 농축액과 오렌지 주스 농축액이

같이 들어가는 것 같다. 

 

의외로 이유는 모르겠지만 비타민 C가 들어간다.

한층 더 건강해지는 기분이다(?) 

 

의외로 색은 뿌연 노란색이다.

 

거품은 적게나고 금방꺼지지만 탄산감은 적당하다.

 

향은 새콤달콤한 자몽과 레몬냄새, 희미한 곡물냄새와

홉향이 아주 약하게 난다. 

 

 

맛은 처음에는 신맛과 쓴맛, 떫은 맛과 텁텁한 맛이 나지만

뒤에 자몽과 레몬맛이 나며, 약하게 단맛과

구수한 곡물맛이 나는 편이다.

 

어째 자몽이 주된 컨셉이지만 오히려 레몬맛이 잘나며,

단맛이 매우 적다. 

 

완전 음료같다는 느낌은 확실히 좀 거리가 멀며,

그냥 과일맛이 좀 잘 나는 맥주 비스무리한 술이라고 생각하면

편할 듯 하다. 

 

생선요리,생선까스같은 음식과 먹으면 

잘맞을 것 같은 술이라고 평가해주고 싶다. 

 

또 다른 술, 또 다른 음료에 대한 나의 도전은 계속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가끔 독한 술을 한 잔씩 홀짝 거리고 싶은 날이

있기 마련이다.

 

오늘은 그런 날과 어울리는 술인 홍성 이과두주에 대한 후기를 남기고자한다.

여러모로 백주를 한번씩 마실 때마다 느끼는 점이 많다.

 

 

뭔가 레드팀스러운 느낌을 과하게 표현하는 것 같지만

그러려니하자, 술을 즐기는 데 있어 이게 뭐가 중요할까?

 

 

250ml/Alc 43% 

일반적인 위스키보다 3도 더 높은 도수의 술이다. 

 

여러모로 초록색 병도 자주 봤지만

이런 파란색 병을 이과두주에서도 적용시키는 건 좀 새로운 느낌이 있다.

 

고도수의 술들을 이런 조그만 병에 담아서 파는 걸 보면

한번씩 참 아기자기한 느낌이 들어 좋다. 

 

 

본격적인 후기를 남기자면 

 

색은 무색 투명한 편이다.

 

향인 강한 알코올향이 나며, 뒤에 향긋한 배향,

또 뒤에 약간 꾸릿한 향이 나고 또 흙향도 나는 편이다.

 

약하게 나마 곡물향도 난다. 

 

맛은 처음에는 쓴맛, 뒤에는 맵고 드라이한 편이며

시큼한 맛과 뒤에 꾸릿한 맛이 난다.

 

하지만 약간 깔끔한 듯하면서도 담백한 느낌도 있고

끝에 살짝 단맛도 느껴진다. 

 

고량주 치곤 곡물로 만든 느낌이 강하고

또 매운맛 역시도 강한 술이라고 평가하고 싶다. 

 

전형적인 향과 간이 강한 음식과 잘맞고

탕수육같은 음식과도 잘 맞을 술이다.

 

하지만 이 개성넘치는 맛때문에 하이볼이나 칵테일로

만들기에는 어려울 것 같고 그냥 본연의 맛으로 즐기는게

가장 좋을 듯하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술은 마시고 싶은데 높은 도수도 싫고

술 특유의 쓴맛도 싫고, 음료처럼 마시고 싶은 술을 찾는다면

 

바로 추천할 수 있는 술.

예거 레몬 라들러(Egger Zitronen Radler)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이 술은 알쓰건 알콜응애건 가볍게 마실 수 있다. 

 

밝은 노란색을 통해 자신이 레몬 라들러임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는 이 디자인을 보라! 

 

 

 

 

Alc 2.2% / 500ml 

 

아주 응애한 알콜을 함류한 라들러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친구.

특징은 어떨까? 

 

거품은 잘나지만 금방 꺼지며,

탄산감은 적당한 편이다. 

 

향은 달달하고 새콤한 냄새,

레몬향과 유자향이 나며 희미한 곡물향이 난다. 

 

 

맛은 처음에는 쓴맛, 신맛, 떫은 맛이 나며.

뒤에 단맛과 레몬 맛, 유자맛에 가까운 맛이 난다.

 

그리고 끝에 구수한 곡물 맛이 남으로써 

단순한 레몬에이드 같은 성격과 또 맥주 본연의 특징을 담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뱃속에 알코올을 가볍게 적시고 싶은 날

추천할 수 있겠다.

 

또 다른 술과 음료 후기로 찾아올테니 기대해주십시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저렴한거 원툴이라고 할 수 있는 술을 마셨습니다.

바로 엠에프 프리미엄(MF Premium)이죠.

 

맥주라고 부르긴 하는데 기타 주류로 분류가 되어 있는 걸로 봐선

아마 발포주 비슷한 술인것 같습니다. 

 

파란색에 중앙 로고가 인상적입니다.

의외로 네덜란드에서 건너온 술이라서 좀 놀랐어요.

 

가격도 1100원 이하대. 

 

 

500ml / Alc 4.5%

 

특이하게도 포도당 시럽이 들어가고 카라멜 색소가 들어가는 걸봐선

확실히 맥주는 아닌건 분명한것 같네요.

 

발효 과정에서 맥아를 적게 넣어서 포도당 시럽을 넣어

효모를 키우고 색상이 덜나오니 카라멜 색소를 넣은게

아닌가 싶습니다. 

 

본격적인 후기를 남기자면 

 

색은 밝고 투명한 황금색

거품이 적게나지만 탄산감은 적당합니다.

거품도 빨리 꺼지는 편이에요. 

 

향은 곡물빵향, 달달한 냄새

약한 풀향과 홉향이 나는 편입니다. 

 

 

처음에는 쓴맛, 신맛이 나다가 뒤에 

단맛과 구수하고 고소한 곡물 맛이 나는 편입니다.

 

깔끔한듯하면서도 약간 텁텁한 감이 있습니다.

끝에 알코올 느낌이 확나며, 소맥에서 감칠맛을 뺀 느낌이 있어요.

 

확실히 맥주라는 느낌과는 다르고 맥주 느낌을 낸 감은 있네요.

 

제 입에는 잘 안맞았습니다.

중국집 볶음밥을 먹을 때 같이 먹는다면 잘 어울릴것 같긴하군요.

 

여기까지 저의 엠에프 프리미엄에 대한 후기였습니다.

항상 술과 음료를 찾고 즐기는데 있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원래 한정판 맥주에 뭔가를 섞어 마시는 걸 그렇게

좋아하는 편은 아닙니다.

 

근데 유튜브 주락이 월드를 보다보니 

켈리 후레쉬 홉 에디션으로 레드아이와 소맥을 만들어 먹는 걸 

보고 과연 괜찮을까? 하는 호기심으로 따라해보기로 했죠. 

 

위스키도 타마시긴 하던데 

위스키가 없는 관계로 다루지 않겠습니다 ㅎㅎ

 

레드아이의 경우 토마토 주스를 반 채운잔에

맥주를 채워줍니다.

 

 

 

그 이후 살짝 저어주면 끝.

 

우선 켈리 특유의 홉 향이 토마토 주스 냄새 사이사이

마다 나는 편입니다.

 

맥주의 탄산감과 토마토 주스의 달콤함이 합쳐지며,

생각보다 엄청 상쾌한 맛이에요. 

 

맥주의 구수한 맛과 쓴맛이 토마토 주스의 달달함을 같이

느껴서 좋았습니다. 

 

소맥의 경우 비율은 다르지만 저는 거의 1:5 정도로 

섞어 마셨습니다 

 

소주는 그냥 저번에 마시던 시원 블루 

 

맥주로 잔을 가득 채워주기 

저어줘도 되긴하는데 맥주를 넣으면서 얼추 섞이는 편이라

젓지 않아도 되긴 합니다. 

 

소주향은 전혀 안나며, 맥주향만 나는 편입니다.

맥주의 쓴맛과 텁은 맛이 강조되며, 구수함은 있지만

별로입니다.

 

좀 더 드라이하고 무거워진 느낌...

 

개인적으로 소맥은 별로였습니다. 

 

그래도 켈리 후레쉬 홉으로 레드아이를 만들어먹는건 맛있었으니

럭키비키한 일이 아니였나 싶네요. 

 

레드아이는 추천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가끔 도수 낮은 술을 즐기고 싶은 그런 날이 있습니다.

물론 술을 잘 못하는 사람들 뿐만 아니라 술을 즐기는 입장에서도 말이죠.

 

간만에 술 후기를 남기게 되었습니다.

바로 예거 청포도 라들러(Egger Trauben Radler)에 대한 후기를 말이죠. 

청포도, 샤인머스캣을 닮은 그림이 그려져있고

연두색으로 그려진게 인상적인 디자인입니다. 

 

그간 레몬이나 파인애플,자몽쪽은 익숙했는데

솔직히 포도는 좀 익숙치 않아서 궁금했죠.

 

한편으로는 영동 포도 버블과의 비교를 해볼 수 있겠다~

라는 생각도 들었지요.

 

 

눈에 띄는게 있다면 청포도 에이드와 청포도주스 농축액

의외로 키위주스 농축액이 들어간다는 점입니다.

 

키위는 왜...? 

 

 

본격적인 후기를 남기자면 

 

 

색은 밝고 연한 노란색.

 

탄산감은 적당하며, 탄산 음료 수준입니다.

거품은 적게 나고 또 금방 꺼지는 편이에요.

 

향은 청포도,샤인머스캣 향, 꽃향, 희미한 곡물향이 납니다. 

 

맛은 처음에는 단맛 뒤에 청포도 맛과 키위맛이나며

신맛과 쓴맛, 산미가 돌며 끝에 구수한 곡물 맛이 나는 걸로 끝납니다.

 

상쾌하고 청량한 편이라 음료처럼 즐길 수 있는 술이였어요.

맛있습니다.

 

영동 포도 버블과 비교하자면

이쪽이 좀더 상쾌하고 음료 같은 기분입니다.

가격 면에서도 이쪽이 훨씬 더 싸고요.

 

미안한 이야기지만 저는 호주머니가 가벼운 편이라 

이쪽이 더 좋은 것 같습니다. 

 

술을 잘 못하는 분들도 쉽게 드실수 있을 것 같네요.

 

음식 페어링으로는 짠음식, 매운 음식과 잘 맞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탕수육같은 음식과도 잘맞겠네요. 

 

오늘 저의 예거 청포도 라들러에 대한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술을 찾고 즐기는데 작은 도움이 되었길.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길 음료는 과채음료.

그 중 가야농장 토마토 주스입니다.

 

과채음료중에선 제가 그나마 가장 오랫동안

먹어온 음료가 토마토 주스에요.

 

처음에는 싫어했는데 차츰 좋아지기 시작했거든요. 

 

사실 토마토 주스는 투명한 페트 밖에서도 보이는 붉은 음료가

특징입니다.

 

그리고 토마토 그림도 빠질수가 없죠.

 

 

의외로 비타민c가 들어갑니다.

그외 탄산음료들에선 자주 안보였던 재료들도 들어가네요.

 

생각보다 열량은 제법 있는 편입니다. 

 

본격적인 후기를 남기자면 

 

 

점성이 제법 있습니다. 

좀 걸쭉한 편이에요.

 

향은 당연하게도 토마토향과 단내. 

새콤한 냄새가 나는 편입니다. 

 

맛은 토마토의 신맛, 단맛, 묘하게 산미가 있으며.

단맛이 강하고 감칠맛이 있고 담백한 편입니다.

 

외국 토마토 주스는 너무 셔서 싫던데 

확실히 우리나라 토마토 주스는 단맛이 적절해서 좋습니다.

 

칵테일로 만든다면 

레드아이, 블러드메리가 밖에 생각이 안나네요.

 

확실히 가야농장 토마토주스가 단편에 좀 걸쭉해서

레드아이로 만들어 먹기엔 좋은 것 같습니다.

 

단맛과 맥주의 맛이 참 잘 어울려요.

 

오늘 저의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항상 음료와 술을 찾는데 있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즐거운 시간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길 술은 라들러입니다.

 

그중 예거 복숭아 라들러(Egger Pfirsich Radler)죠.

복숭아 라들러를 독일/오스트리아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라들러는 기타주류로 분류되는데 예전에는 묶음으로 저렴하게

나왔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좀 가격이 올랐더라구요. 

복숭아를 상징하는 핑크색과 복숭아 그림이

인상적인 편입니다.

 

거기에 오스트리아 국기까지.

 

아마 우리나라사람들에겐 예거 시리즈는 과일맥주로 생각하기

쉽겠네요. 

 

 

500ml / Alc 2.1%

 

복숭아 에이드와 맥주를 섞은 라들러답게 복숭아 향과 맛을 내는게

들어있는 편입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복숭아 알레르기가 있는 분은 피하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본격적인 후기를 남기자면 

 

색은 뿌연 노란색에 거품은 적게나며,

금방 꺼지는 편입니다.

 

탄산감은 나름 괜찮은 편이에요 

 

 

 

향은 복숭아향, 단내, 꽃향과 곡물향 약하게

풀향이 나는 편입니다.

 

맛은 처음에는 시고 씁지만 뒤에 복숭아맛.

단맛이 나며, 약간 떫고 텁은 맛도 나고 산미가 있습니다.

 

음료처럼 즐기는 라들러 치곤 좀 개성이 강한 편이었어요.

완전한 음료같은 느낌보다는 확실히 맥주를 섞었다~ 라는 느낌이 있습니다.

 

어울리는 음식으로는 매운 음식이나 짠음식과 페어링이 맞겠네요.

 

오늘 저의 예거 복숭아 라들러에 대한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술과 음료를 찾고 즐기는데 있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그럼 다른 후기로 또 뵙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제가 남길 술은 희석식 소주.

그리고 경상도에서 자주 보일 소주인 시원 블루,

C1 블루 소주입니다. 

 

 

요즘 소주병들이 파란색 병을 공유하다보니 

이친구도 파란색 병이네요. 

 

그참에 이름도 시원 블루라는 명칭과 잘맞게 된것 같습니다.

거기에 얘도 무가당 소주에요. 

 

 

 

360ml/ Alc 16.5% /330kcal 

무가당이라고 하지만 술은 술! 

역시 한 칼로리하는 것 같습니다.

 

본격적인 후기를 남기자면 

 

 

색은 소주답게 무색투명하며,

 

향은 살짝 단내가 나고 

아주 약하게 곡물향과 소주 특유의 알코올향이 나는 편입니다. 

 

맛은 처음에는 단맛, 신맛

묘한 감칠맛과 담백함이 있으며.

 

드라이한 편에 약간 매운맛이 납니다. 

 

매운맛이 약하게 나는 소주라는 점에서 좀 특이했네요.

어쩌면 원래부터 이런건지 아니면 제가 마신 것만 이런지는 모르겠지만요. 

 

여러모로 페어링으로 회나 칼칼하고 매운 음식과 잘 맞을 것 같습니다.

 

나름 재미난 경험이었네요. 

저는 경상남도 출신이지만 좋은데이만 보고 자라서그런가

시원 소주는 처음이였거든요.

 

뭐 이렇게 오늘 저의 C1 블루 소주에 대한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좀 긴 글이긴 하지만 술을 찾고 즐기는데 있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