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마트에 갔다가 좀 신기해 보이는 소주가

있어서 사게 되었습니다.

 

바로 진로 소주 키스(Jinro Soju KITH)였죠.

사실 다른 패션 브랜드와 콜라보로 나온 소주라고 하던데

 

저 사는 지역에선 안들어고 마산에서 살기 시작하면서

보게된 소주였습니다. 

 

가격이 좀 더 비쌌어요. 

 

기존 소주와 달리 검정색이 특징입니다.

그래서 저는 안에 소주도 뭐 검정색으로 나온 특별 한정판?

정도로 생각을 했지요. 

 

사실 기존 파란병에 검정색을 코팅한것 같더군요.

살때는 몰랐는데 악성 재고 였습니다 ㅎㅎ...

 

가격도 비쌌구요.

 

쌀 증류식 소주원액을 사용한 소주입니다. 

그 외에 뭐 특별한 재료가 있다 없다는 차이는 모르겠는데

콜라보 하나로 이렇게 비싼 이유는 마시지 않고선 모르겠더라구요. 

 

본격적인 후기를 남기자면 

색 자체는 소주와 동일한 편입니다.

 

향은 연하게 쌀향과 곡물주 향이 나며,

소주 고유의 냄새가 나는 편입니다. 

 

솔직히... 저는 담금주처럼 뭘 해서 소주원액도 검정색이였다면

좀 특별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맛은 깔끔한 편이며

약하게 단맛과 쓴맛이 있으면서 좀 드라이한 감이 있었습니다. 

 

전체적으로 소주 특유의 마시고 난 이후에 밑에서부터

치고 올라오는 쏴한 느낌이라던지 크으~ 하게 되는 느낌이 없어서

저는 좋았습니다.

 

깔끔한 소주의 느낌이였거든요.

약간 보드카스러운 소주(?)였습니다.

 

 회라던지 찌개류와도 잘 어울릴 소주였어요.

 

차라리 콜라보 소주가 아니라 다른 버전으로 내줬더라면

(좀더 저렴하게)괜찮았을 것 같습니다. 

 

여러모로 좀 신기한 경험이긴 했네요.

 

오늘 저의 진로 소주 키스에 대한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또 다른 술과 음료에 대한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더운날 시원 맥주가 생각날때 별 생각없이

마실수 있는 맥주가 간절할때죠.

 

그래서 오늘 후기로 남길 맥주는 바로

미국 맥주인 버드와이저(Budweiser)입니다.

 

740ml이하는 국내에서 라이선스를 받아서 생산한다고 하는데

그런 맛에 대한 차이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는 아래에서 다루도록하죠.

 

 

King of Beers 맥주의 왕이라는 슬로건이 아주

인상 깊은 편입니다.

 

뭐 사실상 미국에서 소비량 1위의 맥주이며,

전세계적으로 판매하는 맥주죠.

 

다른 맥주들에 비해서 상당히 화려한 디자인이 인상적입니다.

[여담으로 예전에 버드와이저에 달력을 끼워주는 행사상품이

있었는데 상당히 화려한 색감이 인상적이었어요.]

 

Alc 5% /740ml 국내 마트에서 캔으로 구입할 수 있는 맥주중

큰 편에 속하는 대용량 캔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타 맥주들과 달리 쌀이 들어가는게 인상적이네요.

 

 

 

 

거품 자체도 잘나고 탄산도 나쁘지 않으며

목넘김이 좋아요.

색은 맑은 황금색을 띄는 라거맥주입니다.

 

향에 있어서는 희미한 홉의 향이 나며 거의 구수한

맥아의 향이 나는게 끝이며 특별한 향이 더 나거나하는 건 없더군요.

 

맛에 있어서는 고소한 맥아의 맛과 조금 단맛이 나며 

상당히 깔끔한 편입니다.

 

오비에서 라이센스를 받아 생산하는 쪽이 

수입해오는 쪽보다 빠르게 보급되서 그런지

향에 있어서나 맛에 있어서는 국산쪽이 조금더 진한 감이

있는 것 같더군요.

쌀 특유의 깔끔함이 더 큰것 같습니다.

 

쌀이 들어간 맥주답게 맛이 질질끄는 감이 없어요.

가볍게 즐기기 좋은 맥주입니다.

 

긍정적으로 보자면 향이 강한 맥주나 맛이 강한 맥주에

익숙치 않은 분들에게 있어서 잘 맞는 맥주라고 생각되요.

 

음식과의 궁합에 있어서 음식맛을 해치지 않기 때문에

어느 음식과 먹어도 잘 어울리는 편입니다.

 

맵고 짠 음식이나 기름진 음식과 페어링이 잘 맞고

짭짤한 과자와도 잘맞더군요.

 

조금 색다르게 즐기고 싶다면 레몬청이나 과일청을 타

마시기에 좋은 맥주에요.

 

단점이 있다면 좀 많이 마시면 다른 맥주에 비해서

숙취가 좀 강한 편입니다.

 

 

후기는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기고자하는 주류는 바로 막걸리입니다.

저번에는 톡쏘는 알밤 동동이였다면 이번에는 국순당 쌀 막걸리죠.

 

전통제법인 생쌀 발효법으로 빚어 부드러운맛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부드러운 맛이라는 게 목넘김을 의미하는 건지 입에 머금었을 때를 

의미하는 건지 솔직히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패트병으론 대형마트에서 팔지 않으니 캔으로 구매했습니다.

Alc 6% / 350ml로 한캔당 1100원에 구매했죠.

 

나름 주세법과 쌀의 사용에 대한 세금혜택을 받기 때문인지

맥주보단 싸게 구매할수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론 국산 맥주에도 세금 혜택을 부여하여 소비자가 조금 더 싼가격으로

구매할수 있도록 해줬으면 좋겠어요]

 

 

쌀과 효모, 국[밀]을 사용했고 그외 나머지는 유통 과정에 있어서

없어서 안되는 것들을 넣은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게 정확하다면 맥주의 생성과정과

비슷하게 쌀과 밀이 효모의 성장과정에 소모되고 발효가 끝난 과정에

기타과당을 넣어 단맛을 내는게 아닌가 싶네요.

 

어떻게보니 맥주랑 비슷한데다가 둘다 효모를 사용해 발효한다는 점에서

비슷한 것 같습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맥주는 홉을 사용하지만 막걸리는 홉이 필요없다는 점이죠.

[발효과정에서 단맛을 내는 설탕을 넣을 수 없는 이유는 아마도

효모가 지나치게 성장하여 알콜도수를 높이는 걸 막기 위함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좀 어두컴컴해서 그런지 막걸리가 어둡게 찍혔네요.

[잔에 따르기 직전에 좀 흔들어 따라야합니다.]

 

색은 아이보리색으로 하얀편이며, 향에서는 효모로 인한 발효의 냄새가

나는 편입니다. 

[약간 신맛나는 향이라고 해야할지 뭐라고 설명하긴 어렵네요]

좀 약하긴 하지만 쌀과 곡물의 구수한 향도 나는 편이에요.

 

탄산이 좀 들어있는 편이라 약간 톡쏘긴 하지만

적당한 편으로 목넘김이 괜찮습니다.

하지만 깔끔한 맛과는 거리가 먼게 마시고 나면 막걸리

특유의 잔 느낌이 입안에 남는 편이죠.

그리고 설명하긴 힘든데 입안 전체에 뭔가 잔잔하게 맛이 퍼지는 것 같습니다.

이걸 부드럽다고 설명해야할지 모르겠네요.

[탄산강한 맥주를 먹었을때의 칼칼함,청량감과는 거리가 멀어요.]

 

보쌈하고 먹었으면 좋았을 텐데 두부랑 김치랑 먹어서 그런가

막걸리의 맛이 좀더 강조되어 느껴졌습니다.

[맥주와 달리 막걸리는 같이 먹는 안주의 맛을 잡아먹는 성향이 있어요.]

 

단맛과 구수함 그리고 뒤에 살짝 신맛이 나는 편입니다.

[단맛이 강한 편에요]

 

제가 아직까지 막걸리를 그렇게 많이 마셔본 편이 아니라서 맛에대한

후기는 여기까지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