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주를 자주 마실 기회가 안나는 관계로

맥주 후기를 띄엄띄엄 쓰게되는 군요.

 

오늘 후기로 남길 맥주는 바로

 

국산 맥주인 한맥(HanMac) 맥주입니다.

 

Korean Lager 한국라거, 뭐 한국 맥주의 줄임말로

한맥이라고 지은 모양입니다.

 

뭐 오비맥주에서 지향하는 바는 K-라거로 대표할수 있는 맥주를 만들자!

해서 만든거라고 하는데 뭐 먹어봐야 알겠죠.

 

재료 중 눈에 띄는 것은 전분과 쌀입니다.

 

맛때문에도 넣을 수 있는 재료들이지만 

전분의 경우 효모가 자라는데 필요한 영양분으로 넣었을수도 있고

아니면 맛을 위해서 넣었을수도 있습니다.

 

쌀의 경우에는 술에 넣었을때 깔끔한 맛을 내기위해 넣는 재료인데

아마도 깔끔함을 강조하기 위해서였겠죠.

 

[외국 맥주들 중에서도 깔끔한 맛을 내기위해서 쌀을 넣는 맥주도

많이 있습니다. 

뭐 예로 쉽게 들자면 버드와이저가 있겠죠]

 

 

Alc 4.6% /500ml로 표준적인 도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뭔가 초록색 디자인때문에 그런지 다른 맥주들이 많이

생각나긴 하는데 아마도 한국의 금수강산을 이미지화 시킨것 같습니다만

 

저는 뭔가 베어맥주가 생각이나는 군요.

 

 

 

처음에 거품이 잘 일어나다가도

 

 

어느정도가 되면 거품의 비율이 줄어들고 

거품이 그렇게 곱지는 않은 편입니다.

 

거기에 거품층이 빠르게 사라져요.

 

조금 짙은, 붉은 계통에 가까운 황금색을 지니고 있습니다.

 

향에 있어서는 희미한 약한 홉향풀향이 느껴지는 편이에요.

 

맛에 있어서는 처음에는 구수하고 살짝 고소한 맛이나다가도

쓴맛이 나는 편입니다.

 

단맛은 느끼기 힘들며, 마시고 난 이후에 입안에 묘한 신맛이 나는 편이더군요.

 

전체적으로 맛에 있어서는 짧게 입안에 남으며, 좋게 말하면 깔끔한 편입니다.

뭐 같이 먹는 음식의 맛을 해치지 않는다고 표현하는게 좋겠네요. 

 

같은 집안에서 나온 카스와 오비맥주와는 또 다른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기대가 커서 그런지 묘하게 싱겁고 향도 약해서

아쉬웠습니다.

 

맵거나 기름진 음식, 짠 음식과 궁합은 잘맞을 것 같네요.

저하고는 좀 안맞는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시느라 수고 많으셨고, 맥주를 즐기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랜만에 후기로 남길 술은 바로 카스 후레쉬 미니

(Cass Fresh Mini)입니다.

 

예전에 본판이었던 카스 후레쉬에 대한 후기를 남긴 적이 있었죠.

 

2019/09/18 - [맥주 시음기/국산 맥주] - 국산 맥주- 카스 후레쉬[Cass Fresh]

 

 

 

이번에는 사실상 그렇게 큰 차이가 없이 그냥 사이즈가 작아진

미니에 대한 후기를 남기고자합니다.

 

 

미니캔 사이즈의 카스 후레쉬가 10캔 들어있는 구성으로

사실상 국산 맥주의 소형화의 시도로 보이네요.

 

뭐 외국 맥주들 중에서 미니캔을 시도한 회사가 늘어나다보니

거기에 맞춰서 변화를 시도한 것인지 아니면 요즘 추세가 술을 덜 마시는 문화로

바뀌다보니 그렇게 만든건지도 모르겠네요.

 

 

 

손잡이도 달려있고 옆으로는 뜯어서 하나씩 꺼내먹기

좋게 포장되어 있었습니다.

 

뭔가 장바구니에 넣어가기는 조금 크고

들고가자니 애매한 사이즈긴 했어요.

 

 

4.5% / 250ml로 원래 카스 후레쉬와 같은 도수에 사실상

같은 내용물을 사용한 것일 뿐. 그냥 크기만 바뀐 정도입니다.

 

약간 치킨집에 치킨시켜 먹거나 포장을 하면 서비스로 넣어주는 콜라캔이

생각이 나는 군요.

 

 

 

미니캔으로 나온 만큼 단점도 있고 장점도 있는 것 같습니다.

 

장점으로 치면 조금씩 마시기 때문에 취하지 않는 다는 점

그리고 저 같은 사람의 경우 술을 마신 다음날에 조금 피곤한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조금씩 마시면 피로가 덜하다는 장점이 있네요.

 

뭔가 야근하고 온 저녁에 샤워하고 기분전환겸으로 마시기 좋더군요.

그외 뭐 사온 안주거리와 먹기도 좋았습니다.

 

단점은 아래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맛과 색 그리고 향은 예전에 후기글을 썼을때와 별반 차이가 없습니다만

차이점이자 단점을 설명하자면 탄산의 정도에 있습니다.

 

기존 본판보다 탄산이 조금 약해졌어요.

거품이 많이 일어나지도 않고 500ml를 마셨을 때보다 약한 탄산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카스 후레쉬만은 특징이 없어졌다는 점에서... 조금 아쉽기도 하네요.

뚱캔 사이즈의 탄산음료보다 탄산이 약한 것 같습니다.

 

솔직히 뭔가 평가하기가 애매한게 제가 다른 미니캔으로 나온 맥주를 먹어본적이

없다보니 평가하기가 힘든 것 같네요.

 

열에 의해서 탄산이 조금 빠진건지 아니면 소량으로 포장을 해서 빠지는 건지 모르겠지만

500ml로 마셨을때와는 확실히 차이가 분명했습니다.

 

라거 맥주의 생명을 빼앗긴 기분...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제가 남기고자하는 맥주의 후기는 어제에 이어서 

카스 라이트[Cass Light]입니다.

 

카스 라이트는 카스 후레쉬의 라이트한 버전으로 

찐한 파란색과 달리 라이트는 하늘색의 색상을 가지고 있어요.

 

 

카스 후레쉬보다 33% 정도 칼로리가 더 낮다고 

표시를 하고 있습니다. 

 

솔직히 저에게 있어서 맥주에 칼로리가 무슨 상관이 있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칼로리가 낮은 것보다는 알코올 도수가 낮은 게 눈에 띄였어요.

 

카스 후레쉬가 4.5%라면 카스 라이트는 4.0%의 도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외 다른 차이점은 맛에 있겠죠.

호주 / 캐나다 /독일 산 맥아와 독일산 호프펠렛을 쓴다고 

표기되어 있습니다. 

 

물론 카스 후레쉬도 마찬가지지만 카스 후레쉬에는 추가적으로 전분이

들어간다고 표기가 되어있죠.

 

[둘다 가격도 같습니다.]

 

그냥 카스 시리즈가 다 라거 스타일인만큼 본래의 스타일에서 

조금씩 달라지는 것 같아요. 

 

맛과 색, 향에 대해서 제가 느낀 점을 적어보자면

색에 있어서 본래의 카스 라이트보다 더 진한 것 같습니다.

[기분탓인건지 아니면 방안에 햇빛때문인지 모르겠지만 더 진하게 느껴지더군요.]

 

황금빛의 색을 지니고 있으며, 탄산감이 적당하고 거품이 일찍 꺼지는 편입니다.

[예전에는 카스 라이트가 카스 후레쉬보다 좀더 톡쏘는 감이 있었던 것 같은데

오늘 확인해보니 지금은 카스 후레쉬쪽이 탄산감이 더 쌘것 같네요]

전체적인 목넘김은 나쁘지 않았습니다.

 

향에 있어서는 홉의 향이 거의 나지 않으며, 대신에 맥아의 향이 

크게 느껴지는 편이며,

 

한 모금에 입에 넣고 굴려보면 구수한 보리맛이 나면서 뒤에 

쓴맛과 신맛이 살짝 감돌더군요.

 

카스 후레쉬에서 느꼈던 단맛은 전혀 없었습니다.

후레쉬보다도 가볍고 조금더 깔끔한 것 같지만

쓴맛이 좀 더 오래 느껴지는 것 같았어요.

 

제 입맛에 있어서는 라이트보다

후레쉬가 더 나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조금더 가볍고 깔끔한 점에 있어서 후레쉬보다 음식과 무난하게 

잘 어울리는 점에서는 라이트가 더 나은 것 같네요.

 

칵테일로 치면 보드카처럼 다른 맛을 해치는 경우가 적을 것 같습니다.

대신에 짭짤한 음식과 먹었을 때, 그 짭짤한 맛을 씻어주기에는 어려운 것 같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은 카스 후레쉬[Cass Fresh]에 대한 후기를 남겨볼까합니다.

카스 후레쉬는 국내 OB맥주에서 나온 맥주로 옛날부터 지금까지

계속해서 맥주를 만들어오는 기업이죠.

 

카스 후레쉬[Cass Fresh]에 대한 후기를 남겨볼까합니다.

카스 후레쉬는 국내 OB맥주에서 나온 맥주로 옛날부터 지금까지

계속해서 맥주를 만들어오는 기업이죠.

 

제가 맥주를 정확하게 알기전에도 마셨던 맥주지만 어느정도 알게된 이후에는

그렇게 자주 마신적이 없습니다.

[카스 레몬, 카스 레드등 일반적인 대형마트에서 만나기 힘든 버전들도

접해봤지만 그냥 원판이 제일 제 입맛에 맞았던것 같네요]

 

 

"시간과 세월이 지난 이후에 어느세 앞에 생맥주

공법으로 갓 만든 신선한 맛을 경험해보세요"

라는 설명이 추가되었습니다.

 

제조일이 9월인걸 보면 맥주를 만들어서 빠르게 보급하는 것으로

전략을 바꾼 것 같네요.

 

[뭐 당연한 일이지만 맥주라는 것은 생산된 이후 시간이

지날수록 그 맛이 떨어지기 때문에...]

 

파란색이 뭔가 시원한 시각적인 느낌을 주고 있네요.

 

500ml / 알콜 도수가 4.5%로 가볍게 즐길 수 있으며,

더운 날 땀 흘리고 마시기에 좋은 것 같습니다.

 

[거품이 팍 올라올걸 예측을 못해서 좀 거품좀 내다가 보니 거품이 밑으로 새더군요]

 

옅은 황금색의 색깔을 띄고 있으며, 거품이 금방 차오르랐다가

 또 금방 꺼지는 편이며, 탄산감이 좀 강한 편에 속합니다.

[개인적인 느낌이지만 이전보다 탄산이 더 강해진것 같네요]

 

라거 맥주치곤 상당히 톡쏘는 듯한 느낌과 상쾌함이 장점이고,

입안을 씻어주는 듯한 느낌이 있습니다.

짜고, 기름진, 매운 감을 씻어내주는 듯해요.

[실제로 소시지나 돼지고기, 볶음밥 , 매운 해물찜, 매운 음식들과도

나름 궁합이 잘맞습니다]

 

첫맛이 살짝 단맛이 돌다가 이후에 구수함과 희미한 홉의 향이

느껴지는 편이며, 끝에 살짝 쓴맛이 나긴하지만

이후에 사라지는 상당히 깔끔한 맛에 가깝습니다.

 

[같이 먹는 음식의 맛을 역으로 잡아먹지 않는다는 점]

 

맥아,홉의 향이 나긴 하지만 그렇게 강한편은 아니라서

냄새 자체에 거북한 분들에게 맞는 맥주입니다.

 

예전에는 조금 싱거운 느낌이 강했는데 오늘 마셔보니

싱겁지도 않고 괜찮더군요.

 

 

더운 여름날에 과일청을 타서 마셔도 좋을 것 같고

고기를 요리할때 넣어서 요리해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뭐니뭐니해도 치킨과 잘 맞는 맥주라고 평가할수 있겠네요

그리고 또 중국집 음식들과도 잘맞는 것 같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