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에 사케를 접해서 그런가 요 근래에 소주에

관심이 꽂히기 시작했다.

 

그리고 오늘 마신게 바로 경월 20. 

경월 소주 20도이다. 

 

Alc 20 %/ 700ml 

 

주위에서 쉽게 보이진 않고 이마트에서 팔아서 호기심에 산 편인데

일반적으로 우리가 아는 소주들보다 4도 정도 높은 편이다. 

 

보드카가 Alc 40% 정도되니 그 도수의 절반정도로 

생각하면 나름 도수가 낮은 것도 아니다.

 

 

분류는 증류식 소주.

 

표기상으로는 보리와 쌀을 증류해서 만든 듯 하다.

어째... 보리를 증류한 소주라는 점에서 좀 안좋은 기억이 있긴 하지만

못 마실 것도 없다.

 

본격적인 후기를 남기자면 

 

색은 무색 투명.

 

향은 약한 알코올 향이 나며, 희미한 단내가 난다.

쌀 곡물주 특유의 향이 있는데 누룩향과는 또 다르다. 

 

 

맛은 처음에는 살짝 단맛이 나고

뒤에 알코올 특유의 향이나 맛이 치고 들어온다. 

 

쓴맛과 매운 맛이 느껴지는데, 

좀 드라이한 감이 있다.

 

소주 치고는 전체적으로 깔끔한 편이나 

확실히 소주라는 느낌은 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도수 낮은 보드카 느낌이 있다. 

 

하이볼 스타일로 마셔도 좋고 스트레이트로 마셔도

좋으나, 미지근한 상태보단 확실히 찬 상태로 마시는게 어울린다.

 

오늘 경월 20에 대한 후기는 여기까지이다.

솔직하게 많은 기대를 한 것에 비해서는 좀 애매하긴 하지만...

또 색다른 경험이라 좋았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길 보드카는 바로 앱솔루트 어피치 보드카

(Absolut Apeach Vodka)다.

 

앱솔루트도 스미노프도 마셔봤지만 양쪽 보드카 모두에게

호감이 있는 편이라서, 어피치가 세일하길래 냉큼 집어왔던걸로 기억한다. 

 

Alc 40% / 375ml

 

보기보다는 량은 작은 편이나 실제로 마셔보면

375ml를 다 마시기까지 기나긴 여정이 필요하다는 걸 알게 될것이다...

 

 

 

개인적으로 보드카는 상온과 냉동에서 차갑게 식힌 걸

따로 따로 즐겨보는 걸 정말 좋아한다.

 

그럼 상온 상태에 대한 후기를 남기겠다. 

 

색은 무색 투명.

 

향은 알코올 향과 은은하게 달달한 복숭아 향이 난다. 

 

 

맛은 처음에는 맵고 드라이한 편이며,

뒤에 살짝 단맛과 복숭아 맛이 난다.

 

입안에 매운 맛이 많이 남으며, 일반적인

고량주보다 훨씬 맵다.

 

목이 뜨겁다... 

 

그럼 차갑게 식힌 건? 

 

 

 

 

 

일단 보드카가 걸쭉해진다. 

 

달달한 복숭아 향이 강조되고 

 

거기에... 매운 맛이 강조되며.

드라이한 느낌이 훨씬 더 커진다. 

 

단맛과 복숭아 맛이 줄어드는 대신 훨씬 깔끔한 편이다. 

 

 

 

 

어째서인지... 예전에 마신 강소백 복숭아 리큐르가 생각났다.

 

내친 김에 칵테일로도 마셔봤다. 

 

 

 

 

스크류드라이버! 

 

 

 

 

오렌지 주스에 보드카의 맛과 향이 감춰지는 줄 알았더니

어째서인지 복숭아 특유의 느낌이 오렌지 주스를 뚫고 느껴진다.

 

 

 

 

나랑드 파인애플 제로로 하이볼 스타일로도 즐겨봤다. 

 

 

 

달달한 파인애플 맛은 온데간데 없고

그 자리에는 매콤한 복숭아 맛만이 남아있는게 아니겠는가? 

 

복숭아의 개성이 너무 강하다...

 

앱솔루트 보드카님께서 호랑이처럼 달려와

스미노프를 걷어차시고 귓싸대기를 올려 붙이셨다.

 

중략...

 

"니가 선택해서 구입한 보드카다. 악으로 먹어라"

 

"명심해라. 알중은 자신의 선택이 불러온 책임을 피하지 않는다."

 

그날 나는 복숭아를 먹지 않고도 취할 수 있음을 깨달았다.

나 그날 앱솔루트 어피치에 복숭아향을 배웠고 복숭아맛에 취했다... 

 

 

너무나도 강한 개성의 복숭아 향에 칵테일이고 뭐고 

다 뚫고 나오는 편이다.

 

차라리 복숭아 향과 맛이 베이스인 리큐르 칵테일이 어울릴듯 하다.

그리고 차갑게 마시는 건 사실상 알중들의 도수를 키우는 전통에 가까운 느낌이다...

 

칵테일보다는 니트로 마시는 걸 추천하고 싶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나랑드 사이다는 오리지널과 제로를 제외하면

다른 맛을 사서 마셔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핫딜때 사다가

30캔째 다 마시게 되었다.

 

물론, 이 후기를 진작에 적었어야 했으나.

다 비우고 난 뒤에 적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 오늘에서야 쓰게 되었다.

 

 

나랑드 사이다 제로 파인애플(Narangd Cider Zero Pineapple)

나랑드 사이다 파인애플 제로인가

좀 헷갈리는 편이다.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을 제외하면

제로음료들에서 자주 보던 재료들이다.

 

요즘엔 하나의 과일 컨셉이더라도 여러 과일 향을 복합적으로 넣는 것도

다양하나, 얘는 파인애플 향 오직 하나만 들어가는 편이다.

 

 

색은 무색 투명하며,

향은 달달하고 상쾌한 파인애플 향이 나는 편이다.

특히 단내가 좀 잘나는 편.

 

 

 

맛은 처음에는 단맛, 파인애플 맛과 산미 그리고

약한 떫은 맛과 신맛이 나는 편이나.

단맛과 파인애플 맛때문인지 크게 느끼긴 힘들다.

 

사이다 느낌보다는 파인애플 소다 느낌이 강하고

마시고 나면 입안에 산미와 쓴맛, 단맛이 남는 편이라

깔끔한 맛과는 거리가 멀다.

 

 

칵테일로 만든다면 역시 하이볼로 만드는게 제일 무난하고

잘 맞는 편이며, 보드카나 고량주 하이볼을 만들 때 쓰면 좋을 것 같다.

 

오늘에 나랑드 사이다 제로 파인애플에 대한 후기는 여기까지.

참조가 되었으면 좋겠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요즘에는 정말 별의별게 제로 음료로 나오는 편이다.

 

그중 한번씩 마시는 탄산음료인 천연사이다 역시도

제로로 나왔기에 사먹게 되었다. 

 

사실 그냥 핫딜로 나와서 하이볼이나 진토닉,보드카 토닉으로 만들어

마셔볼까 하고 산게 크다. 

 

 

기존에 익숙한 천연사이다 디자인에 검정색

띄로 제로임을 강조하는게 끝이다.

 

 

천연사이다. 

탄산음료는 마시고 싶고 콜라나 여타 사이다를 마시기엔

호주머니가 홀쭉한 시기에 큰 페트병으로 자주 사먹었던 추억이 있다.

 

아무튼. 

 

본격적인 후기를 남기자면

 

색은 무색 투명

 

탄산감은 적당하며, 청량한 편이다. 

 

향은 소다향과 유사한 편이며, 달달하고 향긋한

배향과 레몬향에 가깝다.

 

딸기향도 들어있다고 표기 되어 있으나 느끼긴 힘들다.

 

맛은 탄산수와 사이다 사이의 맛.

처음에는 단맛이 나지만 묘하게 쓴맛과 떫은 맛이 있어,

탄산수결에 가까운 사이다라고 평가하고 싶다. 

 

그렇게 튀거나 강한 맛이 아니라서

술을 타먹기에 좋은 사이다라고 본다. 

 

칵테일을 만든다면 글의 시작때 말했던

하이볼, 보드카토닉을 만들면 잘 어울릴 것 같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멘토스 스파클링워터 자몽을 살 당시...

사실 레몬도 같이 샀었습니다. 

 

그리고 이 당시만 해도 얘네가 탄산수인걸 모르고 있었죠.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멘토스 스파클링워터 레몬

(Mentos Lemon Sparkling Water)에 대한 후기를 남길까 합니다.

 

자몽과 마찬가지로 맛보다는 향을 낸 탄산수입니다.

어떻게보면 참... 칵테일을 만들기에는 최적화된 편이죠.

 

 

노란색에 초록색이라서 레몬이 아니라 라임이 생각나기도 하네요.

 

뚱캔 사이즈 음료 답게 355ml에 제로 칼로리입니다.

 

본격적인 후기를 남기자면 

 

향에 있어서는 새콤달콤한 레몬향,

라임향, 감귤류 향이라고 해야할까요? 그 계통의 향이 나는 편입니다.

 

색은 무색 투명하며, 탄산감이 좋고

청량한 느낌이 있어요. 

 

 

맛은 처음에는 씁고 약간 텁은 맛과

신맛이 나며, 향 때문인지 레몬 맛처럼 느껴지는 편입니다.

 

단맛을 뺀 사이다 같은 느낌이에요.

 

딱 하이볼을 만들면 잘 맞을 것 같은 탄산수입니다.

하지만 레몬즙이나 레몬쥬스를 넣어야 좀 더 맛이나 풍미가 살것 같네요.

 

보드카 토닉이나 진토닉을 만들어도 좋을것 같습니다.

 

오늘 이렇게 멘토스 스파클링워터 레몬에 대한 후기를 남겨봤네요.

음료를 찾고 즐기는데 있어 약간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마트에서 가끔 실수로 사는 음료들이 있습니다.

 

오늘에 멘토스 스파클링워터 자몽

(Mentos Grapefruit Sparking Water)같은 경우처럼 말이죠.

 

분명히 사기전만 해도... 탄산음료로 보였는데 

탄산수인 경우가 있습니다. 

 

저는 처음에 멘토스에서 탄산음료도 만들어 파는구나!

했었는데, 마셔보고 나니 탄산수도 만들어 파는구나! 하고 놀랐네요.

 

세상에 이런 디자인 비쥬얼이 어떻게 봐서 탄산수야... 

 

그렇게 잘 팔리는 케이스는 아닌지 정작 음료코너가 아닌

할인코너에 옹기종기 모여서 살고 있었습니다. 

 

 

탄산수치곤 향료가 많이 들어가며, 제로 칼로리입니다. 

맛을 낸게 아니라 향만 내긴 했다지만 좀 의외였어요. 

 

본격적인 후기를 남기자면 

 

무색 투명하며, 향은 달콤하고 새콤한 자몽냄새가

나는 편입니다. 

 

 

하지만 맛은 처음에는 신맛, 쓴맛 

떫은 맛과 자몽향 때문에 그런지 자몽맛이 살짝 나는 것처럼

느껴지는 탄산수입니다.

 

향에 취해서 뇌가 자몽맛이 난다고 착각을 하는 것 같아요.

 

그냥 마시면 향만 나는 탄산수라서 활용을 한다면

아마도 하이볼류를 만들면 괜찮을 것 같네요.

 

대신에 약간에 단맛을 내줄 시럽을 넣는게 잘 맞을것 같습니다.

 

오늘 저의 멘토스 스파클링워터 자몽에 대한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항상 음료와 술을 찾고 즐기는데 있어

이런 글이 약간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간만에 위스키를 마실까 그냥 마시지 말까하다가

결국 토닉워터를 한 병 마셨습니다.

 

오늘 다룰 트레비(Trevi) 토닉워터 오리지널 제로 칼로리죠. 

캔이 250ml던데 페트가 300ml에다가 가격이 좀 비싼듯 한데... 

그래도 최근에 정말 많은 곳에서 팔고 있더군요. 

 

단독으로 팔기도 하고 다른 술과 함께 끼여 팔기도 하더군요.

 

 

8kcal라고 표기 되어 있네요.

토닉워터에서 전투력이 모두 빠져나가고 나면 

사실상 그냥 탄산수가 아닌가 싶기도 하고, 이게 맞는 것 같습니다. 

 

 

잔에 따랐을 때 탄산 거품이 잘나며, 향은 레몬과 오렌지향

그리고 미묘한 향이 나는데 아마 이게 퀴닌향인가 봅니다.

 

약간 약같은 냄새가 나긴 하거든요.

 

탄산감이 좋아서 목넘김은 좋았습니다. 

 

맛은 단맛은 있으나 신맛과 떫은 맛, 쓴맛이 강한 편인데

토닉워터 치곤 떫은 맛과 신맛이 좀 강조되는 편입니다.

 

깔끔한 느낌을 원하는 분들에겐 좀 호불호가 갈리겠네요.

 

진토닉이나 하이볼로 만들기에는 향도 맛도 좀 강한 편인데...

뭐 직접 칵테일을 만들어 마셔보면 확실할 것 같습니다. 

 

오늘 저의 트레비 토닉워터 제로 칼로리에 대한 후기는 여기 까지입니다.

 

음료를 찾고 즐기는데 있어 작은 도움쯤 되었으면 좋겠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정말로 괜찮은건지 검증을 하는 게시글을 오늘에서야

마무리할 수 있게 되었군요... 

 

그럼 별 다른 말 없이 랭스 위스키로 랭토닉 하이볼을 만들어

마셔본 후기를 남기고자 합니다. 

 

하이볼을 만들때 어떤 걸 쓰느냐 기본적인 탄산수와 토닉워터를 쓰느냐는 차이가

있는 편입니다. 

 

근데... 토닉워터를 안썼으니 그냥 랭스 하이볼이 아닌가...

 

저는 그간 앞에서 콜라니 사이다니 써보았으니 근본 방법인 탄산수를 써보기로 했죠.

사실 토닉워터를 쓰는 쪽이 훨씬 더 맛이 좋고 소개된 방법이기도 하지만

탄산수로도 즐길 수 있는지 확인해보기로 마음 먹었죠. 

 

사실... 그냥 토닉워터쓰면 랭솔레몬 하이볼과 별반 차이가 없어요.

그냥 솔의눈 맛이 빠졌다는 것 뿐... 

 

 

레몬조각와 랭스 위스키, 탄산수(아무거나) 얼음 채운잔 

 

 

랭스 위스키 45ml를 잔에 붓고 

 

 

 

탄산수로 풀업(full up) 

 

 

들썩 들썩으로 섞어주고 

 

 

 

레몬즙으로 마무리. 

 

 

 

향은 상쾌한 레몬향과 약한 위스키향이 나는 편입니다.

 

맛은 살짝 느껴지는 레몬의 신맛과 뒤에 탄산수 특유의 쓴맛과

약한 떫은 맛 뒤에 랭스의 쓴맛과 약간 매운맛이 느껴지는 편입니다.

 

토닉워터나 사이다로 만들었다면 그냥 토닉워터와 사이다의 단맛이

랭스 위스키의 맛을 다 잡아 먹었을테니 기존에 마셔서 후기 남겼던것 들과 별반

차이가 없었을 거라고 봅니다.

 

탄산수로 하이볼을 만들어야 한다면 빈 잔에

 밥숟가락으로 설탕 3스푼을 따르고 탄산수를 살짝 부어 설탕을 녹인 후

얼음을 채우고 레몬조각도 넣어준 뒤에 하이볼 만드는 과정을 한다면

 

꽤 괜찮았을 것 같습니다. 

 

설탕의 단맛이 랭스 위스키의 차가워진 상태에 매운맛을 잡아줬을테니까요. 

 

그냥 탄산수로 만들어 먹기엔 솔직하게 별로입니다.

추천하고 싶진 않아요 

 

결과적으로 말하자면 랭스 위스키 칵테일은 음료빨을 타는 케이스였습니다.

좋게 말하면 칵테일의 컨셉을 잘 맞춰가는 케이스지만

좀 애매한 술이 아닌가 싶어요. 

 

비율로 적기보단 차라리  소주잔으로 얼마, 잔 가득 이런 식으로 적었더라면

먹는 사람들 입장에선 더 좋았을 것 같네요. 

 

오늘 저의 랭스 위스키로 만든 하이볼에 대한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랭스 위스키의 후기를 남길때 예고 했듯

적혀있는 레시피와 근접한 칵테일을 직접 만들어 마셔보는 시간을 가져봤습니다.

 

사실... 검증을 해보고 좋고 나쁘고를 확인해보는 시간을 가진거죠. 

 

랭스 1 솔의눈 1 사이다 2 레몬과 얼음잔으로 

랭솔 레몬 하이볼이라고 하는데 그냥 랭솔 하이볼이라고 하면 될걸

또 뭔 레몬까지 붙여서 이름을 길게 하는지 좀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래도 나름 맛을 안다고 하는 사람들이 적은 걸테고

기존의 하이볼 레시피를 그렇게 많이 벗어나는 건 아니기 때문에

만들어봤습니다.

 

좀 애매하게 비율을 적지말고 차라리 ml 단위와 사이다는 full up이라고 적거나

잔 가득 이라는 표기를 쓰는게 어땠을까 싶네요.

 

랭스 위스키는 처음에 마실때와 달리 지나치게 긴 시간동안 에어링이 되긴 했지만

숨 막히는 알코올 향이 없어져서 저는 좋았습니다. 

 

 

얼음잔에 표기 된 대로 위스키 1과 솔의눈 1을 따르고 

 

 

 

사이다로 잔을 채운 뒤 

 

 

 

 

레몬 껍질이 아닌 그냥 레몬 조각으로 잔을 한번 닦아줬습니다.

 

 

 

레시피엔 적혀있지 않지만 보통... 레몬 즙이 하이볼의 기본이 아닌가

싶어서 레몬즙도 넣어줬습니다. 

 

 

 

좀 복합적인 느낌인데, 솔의눈의 향과 레몬향, 위스키 나무향이 살짝나며

사이다의 달달한 향이 나는 편이었습니다.

 

확실히 솔의눈과 사이다가 들어가서 그런가 달달하고

또 솔의눈 특유의 상쾌한 감이 위스키의 맛을 다 감춰주더군요.

 

약간의 쓴맛과 산미가 있었습니다.

이건 뭐 사이다랑 제가 넣은 레몬즙 때문이겠죠.

 

끝에 입안에 텁텁한 느낌이 남았습니다. 

 

 기존에 사람들이 솔의눈으로 하이볼을 만들어마시는 걸 

반영해서 요런 아이디어를 낸 건 좋은것 같습니다.

 

나쁘진 않았지만

근데 솔의눈과 사이다의 맛이 위스키의 맛과 향을 다 잡아먹는게

과연 맛의 주인공이 누구인지 정말 애매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전체적으로 나쁘진 않았지만 정체성이 애매모호한 하이볼인것 같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길 술은 존 바 파이니스트 위스키(John Barr Finest Whisky)입니다.

예전에 마트에서 한참 할인할때 구매해왔던 걸로 기억하는데 

최근에서야 마시게 되었네요. 

 

이래저래 바쁘기도 했고 뭔가 위스키를 섯부르게 딸 생각도 못했으니까요.

 

파이니스트가 붉은색, 검정색이 리저브라고 하더군요.

뭔가 디자인 면에서 조니워커랑 조금 분위기가 비슷비슷한 것 같습니다.

 

가격면에서는 확차이가 나는 편이라 ... 저는 항상 제 지갑사정에 따라 마십니다.

이 친구가 나름 저렴하다고는 하는데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블랜디드 스코치 위스키(Blended Scotch Whisky)를 강조하고 있네요. 

 

Alc 40%/ 750ml로 표준적인 량에 표준적인 도수를 가진 위스키입니다.

그래도 이 친구는 들어가는 재료에 위스키 원액뿐만 아니라 카라멜 색소가 들어가는 것도

표기를 하는군요.

 

본격적인 후기를 남기자면 

기본적으로 카라멜 향오크향, 바닐라향이 나면서

약간 매우면서도 달달한 향이 나는 편입니다.

 

거기에 아세톤 비슷한 향이 나요.

 

맛에 있어서는 처음에는 쓴맛, 단맛, 매운맛드라이함이 느껴지고

스모크한 느낌이 있으면서도 약간 톡쏘는 감이 있습니다. 

 

에어링을 하면 아세톤 향이 옅어지고 약간 매운맛이 줄어드는 것 같아요.

오히려 달달한 바닐라 향이 강조되고 또 오크향이 좀 더 잘 느껴지더군요.

 

첫모금에 매운 맛이 강하며, 뒤에는 스모크함이

또 드라이한 감이 강합니다. 

끝맺은 단맛이 나고 뒤에 쓴맛이 따라와요. 

 

 

위스키 앤 워터의 경우 

나무향과 바닐라향, 카라멜향이 나는 편입니다.

처음에 매운맛이 뒤에는 카라멜과 단맛이 뒤따라오고

묘하게 담백한 느낌이 있습니다. 

 

단맛이 강조되요. 

약간 에어링을 거치면 나무향과 단내가 잘납니다.

연한 단맛과 쓴맛이 있어요. 

 

 

온더락의 경우 나무향과 바닐라 향이 강조됩니다.

맛은 씁고 떫어지며 매운맛과 텁텁함이 강조되고

쓴맛도 강해집니다.

 

매운맛과 아린맛과 비슷한 오묘한 맛이 나네요.

그렇게 맛이 있지는 않습니다. 

 

 

에어링이라기보단 얼음 녹이이기가 되었는데 ㅎㅎ...

얼음과 물에 희석되면서 나무향이 강조되고 떫고 쓴맛과 매운맛이 너무 강조됩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맛은 아니네요.

 

확실히 저렴한 축에 속하는 위스키이긴 하지만 제 입맛에는 괜찮았습니다.

 

전체적으로 존 바 파이니스트에 대한 저의 첫인상과 후 인상도 나쁘지 않은 것 같네요.

참 재밌는 위스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칵테일로 마신다면 간단하게 콜라랑 섞어 마셔도 좋을 것 같고

위스키를 쓰는 칵테일로도 나쁘진 않을 것 같습니다.

 

무난무난한 하이볼로도 좋을 것 같네요. 

 

음식과의 페어링은 확실히 고기랑 잘 맞을 것 같습니다.

양꼬치도 좋고 스테이크랑도 잘맞을 것 같고,  삼겹살과도 좋을 것 같네요.

 

아무튼 오늘 저의 존 바 파이니스트에 대한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항상 술을 찾고 즐기는데 있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