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게시글 대부분이 독일맥주네요

독일 맥주 위주로 사서 그런가? ㅎㅎ

 

아무튼 간에 오늘 후기로 남길 맥주는 바로 독일에서온

콜비처 바이젠(Colbitzer Weizen)입니다.

 

[내수용과 수출용을 따로 만들어 파는 걸로 아는데

관리의 부분에서 장점이 많아 그런걸로 보이네요]

 

생긴 것과 다르게 가성비가 상당히 좋은 맥주입니다.

H대형 마트에서 한 캔에 1500원에 구입할수 있었으니

[사실상 가격면에서는 베어비어보다 약간 비싼정도지만

150원 밖에 차이가 안나가거든요]

 

150원 차이라고 해도 사실상 다른 회사의 맥주고

맛이나 특징 여러부분에서 다르기 때문에 양쪽을 비교하고

입맛에 맞는 쪽을 채택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Alc 5.3% / 500ml 로 표준적인 도수를 지닌 바이젠 맥주입니다.

 

어떻게 보면 색상 디자인부터

'저는 바이젠 맥주입니다'를 강조하는 것 같네요.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바이젠 맥주 입문용으로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본격적으로 마시고 느낀 점을 다루자면

상당히 좀 특이한 바이젠 맥주였어요.

 

우선 색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구리빛에 짙은 편, 약간 초록색 빛이

있으며, 거품의 경우엔 풍성한 편이지만 유지력이 짧은 편입니다.

 

잔에 따르고 보다보면 라거류 맥주처럼 거품이 일찍 꺼지는 편이에요.

목넘김도 나쁘지 않고 , 탄산감은 적은 편입니다.

 

향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조금 신, 그리고 살짝 구수한 향이 나는 편입니다.

열대 과일향, 그리고 약간 빵의 냄새가 나는 것 같더군요.

 

맛에서는 첫맛은 살짝 시고 뒤따라서 쓴맛과 구수한 맛이 나는 편입니다.

[오렌지 펄이나 고수 씨를 쓴것 같은 맛이나요]

단맛은 느끼기 힘든 편이였습니다.

 

음식과의 궁합에 있어서는 자극적인 맛보다는 

조금 순한 맛의 음식과 먹으면 어울릴것 같네요.

 

기름진 음식, 소시지 구이나 아니면 피자랑도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저는 포테이토 피자랑 먹었는데 잘 맞았던것 같네요]

 

전체적으로 나름 신선한 맛의 충격이었던 것 같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제가 후기로 남기고자하는 맥주는 바로!

독일 맥주인 그레벤슈타이너 오리지널 (Grevensteniner Original)입니다.

 

H 대형 마트에서 2580원에 구입할수 있었으며,

수입 맥주치곤 가격대가 좀 있는 맥주에요.

 

 

그레벤슈타이너 오리지널은 켈러비어과의 맥주로

기존의 여러맥주들과 달리 제가 평소에 접해보지 않은 맥주라

마시는 동안 상당히 놀라운 점이 많았던 맥주입니다.

 

그리고 여과과정을 거치지 않은 맥주라서 

과거 기술로 만들어진 맥주의 맛과 향을 즐기기 좋은 케이스기도 하고요. 

 

Alc 5.2% / 500ml로 나름 표준적인 도수를 가진

맥주입니다.

 

 

본격적으로 제가 향을 맡고 입으로 마신 후기에 대해서

남기자면 

 

첫번째로 색이 진한편에 뿌연게 특징입니다.

여과를 거치지 않아서 바이젠과 비슷하게 뿌옇고

 

구리색과 갈색에 가까우며, 어떻게 보면 비엔나 라거가 생각나기도 하네요.

거품은 풍부한 편이지만 빨리 꺼지는 편입니다.

[탄산감도 적당해서 나쁘지 않으며, 톡쏘는 감은 없어요]

 

향에서는 풀향과 고소한 빵의 향이 나는 편이며,

전체적으로 향자체는 적은 편이지만 맥아의 향과 홉의 향이

서로 균형을 이루는 편이예요.

 

[거품이 한참 꺼진 시점에서는 맥아의 구수한 그리고 

살짝 단내가 나는 편입니다]

 

전체적인 맛에 있어서는 튀는 편이 아니며, 잔잔하며

고소한 곡물의 맛  그리고 살짝 씁쓸함이 느껴집니다.

단맛은 좀 느끼기 힘들었어요.

 

뭐 하나 튀는 구석이 없지만 전체적으로 뭔가 딱 고정적인 맛이예요.

 

소시지와 먹었는데 [와사마요에 찍어먹다 보니] 음식과의 궁합에 있어서

좀 강한 음식을 먹으면 맥주의 맛을 느끼기 힘들어지는 구석이 있습니다.

[음식의 맛을 해치긴 힘든 맛이에요]

 

구수한 맥주를 좋아하는 분들에게 잘맞을 맥주라고 생각이되네요.

 

그리고 여담으로 맥주를 마시고 난 다음에 뭔가 속이 편안한 감이 있었습니다.

저는 특정 맥주를 마시고 나면 속이 약간~ 불편해지는 감이 있었는데

얘는 마시고 난다음에도 뭔가 모를 편안함이 느껴지더라구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기고자하는 술은 바로

지평생 막걸리입니다.

 

요즘들어 막걸리 종류를 자주 마시게 되는데

생각보다 괜찮은 것 같네요.

 

전체적으로 가격도 저렴하고 큰 페트로 사도

맥주와 달리 탄산이 그렇게 빨리 빠지는 편도 아니라서

좋았습니다.

 

[그리고 반주로 조금 마셔도 느껴지는 그 든든함이란...]

 

12.19까지 소비해야하는 막걸리

저번에는 동동주를 잘못사서 탄산이 전혀 없었지만

이번에는 너무 과탄산된 막걸리를 샀는지 흔들지도 않았는데

따자말자 촥 흘러나오더군요.

 

Alc 5% / 1.7L

 

효모가 단맛을 모두 소비하는 걸 우려했는지 

단맛을 내는 아스파탐이 들어있습니다.

 

솔직히 막걸리에 단맛이 없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어요?

단맛은 무슨 일이 있어도 중요합니다.

 

 

뿌연 아이보리 색에 

막걸리 특유의 곡물향과 시큼한 향이 납니다.

그리고 은은하게 퍼지는 단내도 나고요.

 

맛은 곡물의 구수함과 단맛이 나며 뒤에 약간 텁텁한 느낌이

입안에 남는 편입니다.

 

음식과 같이 먹는 게 좀 아니라면 식사후에 입가심용으로 

마시면 막걸리의 탄산으로 입안을 씻어내는 용으로도 좋은 것 같아요.

 

아직까지 동동주와 막걸리를 어떻게 잘 먹으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특정 음식과의 궁합은 좋을지 몰라도 우리가 일상에서

찾아 먹지 않는 이상 그냥 먹는 음식과의 궁합은... 좀 어렵네요

 

맥주가 음식과의 든든한 친구라면

막걸리는 약간 친숙한데 잘 안만나는 친구같은 느낌?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길 술은 바로 국산맥주 

테라(Terra)입니다.

 

이 맥주를 처음 나왔을 때부터 마셔서 요즘에도 간간이

마시는 편이며,

기존의 국산맥주와는 확실히 차이가 있는 맥주였죠.

 

디자인이 기존의 맥주들과 달리 좀더 세련된 느낌이 강했습니다.

그리고 유리병의 경우 초록색 병으로 나와서 뭔가 하이네켄이 생각나긴 하네요.

[물론 같은 집안 출신인 S에스 맥주 역시 초록색 병이었지만... 잊혀지고 말았습니다]

 

호주 골든트라이앵글 청정맥아로 만든 100%리얼 탄산 맥주임을

강조하고 있는 게 보이네요.

 

즉 맥주의 발효과정을 통해 생긴 탄산이라는 거겠죠.

 

 

Alc 4.6% / 500ml

로 일반적인 다른 맥주들과 별반 차이없는 도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의외로 전분을 이용한 맥주이기도 하죠.

[효모의 성장과정에서 맥아와 전분의 당을 먹고 자라기 때문에

맥아에서 부족한 당을 보충하는 차원에서 쓴것 같습니다]

 

근데 정작 마셔보면 전분을 넣었는지 않넣었는지 그렇게 티가 안나네요.

 

 

본격적인 맥주에 대한 후기를 남기자면

 

거품이 상당히 조밀해지고 거품이 풍부하게 난다는 점

그리고 톡쏘는 탄산이 있긴하지만 엄청 강하지 않다는 점이 눈에 띄긴 했습니다.

탄산이 적당해서 목넘김이 나쁘지 않고 탄산감이 좀 오래 유지되긴 했어요.

청량감이 좋았습니다.

 

[카스와 비교했을때 최근 카스가 생맥주, 강한 탄산을 강조하다보니

카스에 비해서는 탄산이 좀 약한 편이예요]

 

맛에 대해서 평가하자면 홉의 씁쓸함, 뒤에 살짝 느껴지는 구수함

단맛은 느끼기 힘든 편입니다.

 

전체적으로 맛이 깔끔하고 조금 드라이한 느낌도 있었어요.

향을 표현하자면 홉의 향이 나지만 맥아의 향은 느끼기 힘들었습니다.

탄산이 어느정도 꺼지고 난다음에 맥아의 향이 나더군요.

 

전체적으로 홉의 향과 맛이 강하게 느껴지는 맥주였습니다.

그외 전체적으로 깔끔해요.

 

오히려 이런 깔끔함 덕분에 기름진 음식이나 다른 음식과의

궁합에서 맛을 해치지 않는 것 같습니다. 

 

[ 굳이 맛에 대해서 비교를 하자면 같은 집에서 나온

맥스와 비교할 수 있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남길 후기의 술은 조금 특별합니다.

바로 막걸리이기 때문이죠.

 

표지에서는 막걸리라는 표기는 따로 되어있지 않고

기타주류라는 설명만 적혀 있습니다.

 

계속해서 맥주에 대한 후기만 남기기엔 애매해서 사이사이에 여러 술에

대한 후기를 남겨야겠다 싶어 뭘 마셔볼까하다가 찾게 되었지요.

 

 

캔의 입구와 글이 쓰인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는 이유가

처음에는 마케팅적인 면인줄 알았는데 

원료 성분이 바닥에 가라앉아 있기 때문에 흔들어 먹기 편하라고

이렇게 출시되었다고 하네요.

 

[처음에는 잘못나온 건줄 알았는데 캔은 죄다 이렇더군요.

패트병으로도 나온다고 하던데 패트병에는 정상적으로 되어있습니다.]

 

 

 

 

Alc 6% / 350ml로 일반적인 맥주보다는 1도 정도 높은

도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마시다보면 그렇게 도수에 대한 생각도 안들고 

알밤 동동이 가진 매력에 대해서 알게되더군요. 

 

밤농축액과 시럽 ,추출물이 들어있네요.

그외 여러가지 자잘하게 들어있는데 대부분의 재료가

효모가 발효하는 과정에서 당을 소비하며 알코올을 뱉기 위해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마시기전에 원료 성분이 갈아앉아

흔들어 마시라고 하지만 막걸리에는 탄산이

들어있기 때문에 많이 흔들지 않는 걸 추천드립니다.

 

일반적인 막걸리보다는 좀 짙은 아이보리색에 가까운

편이더군요.

 

탄산기도 있긴한데 이름마냥 톡 쏘는 느낌보다는 탄산이 있어서

그나마 목넘김이 괜찮다하고 느낄만큼 들어있는 편입니다.

 

막 탄산음료마냥 강한 편도 아니고 딱 적당한 편이죠.

맥주보다는 좀 덜 느껴지는 편입니다.

[효모의 발효과정에서 생긴건지 아니면 생산 이후에 

넣은 건지는 잘모르겠네요.]

 

향에 대해 묘사하자면 달달한 밤의 냄새 사이에

곡물향이 은은하게 나는 편이고 약간 신맛나는 요구르트에서

나던 냄새가납니다.

[아침햇살 음료수에서 맡던 향도 있어요]

 

전체적으로 밤의 향기가 많이나는 편입니다.

 

맛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일반적인 막걸리의 맛에 밤의 맛이

강하게 느껴지는 편이에요.

달달한 밤과 사이사이에 약간씩 신맛이 있으며 구수한 느낌이 많이납니다.

[예전에 밤이 유명한 지역인 공주 밤 막걸리를 마셔봤는데 

그쪽보다 더 달게 느껴지는 것 같네요]

 

음식과의 궁합을 설명하기가 상당히 애매한게

얘가 가진 맛 자체가 강한 편이라 음식의 맛을 잡아먹는 편입니다.

약간 텁텁한 끼도 남아서 맛이 오래가거든요.

 

부추전이나 김치전같은 전 요리나 보쌈과 김치같은 음식과

잘맞을 것 같습니다.

 

기름진 음식과는 거리가 좀 멀어요.

[저는 감자 샐러드와 함께 먹었는데 양쪽다 텁텁한 끼가 있다보니

영 아니였습니다 ㅠㅠ] 

 

확실히 제가 좋아하는 주류인 맥주와는 다른 세계였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제가 후기로 남기고자 하는 맥주는 펠트슐로센 우어복

[Feldshlößchen Urbock]입니다.

 

독일에서 건너온 이 맥주는 마트에서

저렴한 가격 1600~1800원대에 즐길 수 있는 맥주로

같은 펠트슐로센 시리즈와 같은 가격대로 판매하고 있어요.

 

가격이 싸고 진한 풍미와 약간 높은 알콜 함류량을 즐기고 싶다면

한번 도전해볼만 합니다 ㅎㅎ

 

 

펠트슐로센 우어복은 진한 와인색의 색상을 가지고 있네요

헤페바이젠과 슈바르츠비어와는 색에서부터 다른 맥주임을 강조하고 있는 맥주라서

사실 우어복의 색을 생각해보면 이런 와인, 진한 붉은 색보다는 갈색에 가깝게 했어야 맞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Alc 7.2.% / 500ml로 마트나 편의점에서 접할 수 있는 맥주와 비교했을 때,

,결코 낮은 도수가 아니에요

[대략 못해도 4.5~5.0]인걸 생각해보면 조금 높은

도수를 지니고 있는 맥주입니다. 

 

 

 

 

정제수, 보리맥아, 홉만으로 이렇게 맛을 내었다고 하는데 아마도

두 가지 이상의 맥아를 사용한게 아닌가 하는 추측이 듭니다.

 

[효모가 먹어야할 영양분을 보충하는 것도 있고 맛을 내기 위해서

보통은 두 가지 이상을 사용하는 편]

 

 것보다도 다양한 나라에 수출을 하는지 여러나라 언어가 적혀있네요.

 

 

전체적인 색은 진한 갈색에서 검정색에 가까운 색을 띄고 있습니다.

우복이라는 표기가 없다면 다크라거나 비엔나라거라고 생각할만하며

 

검정색에 무척 가까운 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향은 초콜렛이나 코코아비슷한 향이나며,약간의 희미한 홉의향이

나는 편더군요.

[약간 이해하긴 힘들지만 허브차에서 나던 향도 정말 적게 나는 것 같습니다]

 

맛에 있어서는 처음의 단맛이 살짝 감돌다가도 뒤에가면 다크 초콜릿과 

약간 커피맛에 가까운 맛이 나면서 또 뒤에 살짝 탄맛과 쓴맛, 고소함이 감돕니다.

 

그리고 뒤에 약간 소주 비슷한 알코올맛이 좀 크게 감도는 감이 있어서

여러 맛을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원래부터 흑맥주 계통의 맥주를 정말 사랑하는 저에게 있어서는 너무나도

고마운 맥주라고 평가할 수 있겠군요.

 

저렴한 가격에 이렇게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펠트슐로센에게 반하게 되었습니다.

 

대신에 가벼운 맥주나 과일에 가까운 향의 맥주를 즐기는 분들에겐

조금 낯설거나 꺼려지는 맛일 수 있습니다.

 

구운 소시지나 소고기, 닭고기와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구운 고기에 스모크한 맛을 보충해주는 것도 있고 고기를 먹다보면 땡기는 술의 유혹에

잘 부응하는 맥주에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