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후기는 조금 특별합니다.

맥주 후기에 해당 맥주를 통해서 칵테일을 만드는 것 까지 다뤘으니까요.

나름 한 맥주를 좀 더 색다르게 즐기는 방법을 같이 다뤄보면 어떨까 싶어서 다뤄봤습니다.

 

아무튼 오늘 후기로 남길 맥주는 아일랜드 맥주인 기네스 엑스트라 스타우트

(Guinness Extra Stout)입니다.

 

나름 그래도 다양한 후기를 남겼다고 생각했는데 기네스 후기를 남긴 적이 없더군요. 

예전의 디자인도 마음에 들었지만 뭐 지금의 디자인도 나름 괜찮은 것 같습니다.

참고로 엑스트라 스타우트와 드래프트는 좀 성격이 다른 맥주이니

구별해서 드시길 바랍니다.

 

드래프트는 다음에 다룰 예정입니다(?)

 

Alc 5% /500ml

별로 특이하진 않지만 발효 과정에서 생기는 탄산말고도 추가적으로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모양입니다.

볶은 보리의 경우 색을 내기도 하지만 전체적인 맛을 내는 용으로 넣었겠죠.

 

본격적인 후기를 쓰자면 거품이 잘 일어나는 편입니다.

탄산감은 크게 강하진 않지만 적당해서 목넘김이 나쁘지 않아요.

 

향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탄내가 크게 나며, 뒤에 약한 단내

견과류 냄새와 고소한 곡물 냄새가 나며 묘하게 상쾌한 냄새도 나는 편입니다.

 

맛에 있어서는 처음에는 탄맛이 입안을 훑고 지나가며 뒤에 약한 단맛과 쓴맛 끝에

신맛이 나며 고소한 맛이 나는 편입니다.

진한 다크 초콜릿이나 쓴 커피와 비슷한 맛이나요.

 

맛이 복합적이라 상당히 개성이 강한 편입니다.

오히려 저는 그래서 더 좋아하는 것 같네요.

 

 

 

그 다음 기네스 엑스트라 스타우트로 만들 수 있는 쉬운 칵테일이 있으니

바로 트로이 목마 칵테일입니다. 

사용하는 건 콜라 (아무거나), 스타우트 (다른 맥주도 가능!)

이 두가지만 있으면 끝입니다.

 

 

잔에 스타우트를 반 채우고 

 

 

 

그 다음에 남은 반잔을 콜라로 채우면 끝입니다. 

 

콜라가 들어가면서 스타우트 본연의 거품보다 좀 더 부드러운 거품이

나는게 신기해요. 

 

기존의 스타우트의 탄맛과 쓴맛 신맛이 순화되고

콜라로 인해 부드러운 느낌이 강해지며 , 콜라 특유의 단맛이 나는 편입니다.

거기에 고소한 곡물맛과 단맛이 좀 더 강조되어서 기존의 스타우트와는 또 다른 매력을 지닌게

저는 놀라웠습니다. 

 

좀 쉽게 표현하자면 괴식같지만 맥콜에 커피 타 마시는 느낌?이라고 할까요 

나름 괜찮은 경험이었던것 같습니다.

 

좀 단점이 있다면 다 마신 뒤에 잔이 무척 더러워진다는 점? 

 

오늘 저의 맥주와 칵테일에 대한 글은 여기까지입니다.

항상 술을 찾고 즐기는데 있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길 탄산음료는 탐스제로(Tams Zero)레몬향입니다.

저번의 사과키위향를 접한 이후에 레몬향은 어떨지 궁금했거든요.

 

그래서 오늘에서야 마셔보게 되었습니다. 

노란색인 편이라서 저는 처음에 봤을 때 

파인애플맛도 나온건가 했었는데 레몬이더군요.

 

뭐 언젠가는 파인애플맛도 나와주겠지...

 

 

들어가는 재료는 거진 제로 슈거음료수에서 

보던 것들입니다.

 

익숙한 재료들이다 싶네요. 

 

본격적인 맛에 대한 후기를 남기자면 

맛이 청량한편에 레몬을 테마로 한 음료수 치곤 그 특유의 신맛이 없습니다.

좀 담백한 단맛(?)이 나며 짧고 굵게 입안을 훑고 지나가는 편입니다.

 

약간 포도를 먹었을 때 포도의 끝의 단맛과 비슷한(?)단맛이라고 설명드릴 수 있겠네요.

단맛이 훑고 지나간 자리에 약한 레몬의 신맛이 입안에 남는 편입니다.

 

레몬 에이드 같은 느낌은 전혀 없고 결이 다른 맛이라고 평가하고 싶습니다.

 

그렇다면 이 음료를 칵테일로 만든다면? 

이번에는 상상이나 생각만이 아닌 직접 만들어봤습니다. 

 

우선 하이볼 잔에 얼음을 가득 채운 후에 화이트 럼 45ml를 넣어줍니다.

 

 

레몬 쥬스 15ml를 넣어주고 

 

 

 

탐스제로 레몬향으로 가득 채워줍니다.

Full up했다고 하나요? 이런 걸

 

그 후 숟가락으로 여러 차례 들썩여 준 뒤에 

 

 

 

레몬 조각이나 사과로 가니쉬를 마무리 해도 좋을 것 같고

마리스키노 체리로 가니쉬를 마무리 해도 좋을 것 같네요.

 

화이트 럼 대신에 보드카를 넣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마무리 작업에서 그레라딘 시럽을 넣어서 데킬라 썬라이즈 처럼

만들어도 좋을 것 같네요.

 

이름은 '썬데이 모닝'이라고 짓고 싶네요.

 

음료수의 단맛과 향이 럼의 향이나 맛을 감춰줘서

나름 음료수처럼 즐길 수 있는 칵테일이 되었습니다.

저는 맛있게 마셨어요. 

 

그냥 마셔도 좋고 칵테일을 만들 때 서도 좋은 음료수인것 같습니다.

지갑에 여유가 있다면 쟁여놓고 마실 수 있을 음료인것 같네요.

 

오늘 저의 탐스제로 레몬향에 대한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음료를 찾고 즐기시는데 있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길 술은 국산 맥주입니다.

바로 구미호 IPA죠.

 

나름 국내 IPA맥주 중에서 인지도가 있는 맥주입니다. 

요즘에서야 국내 수제 맥주들의 가격이 조금 낮아지긴 했지만

그 이전에는 그저 바라본 봤던 맥주를 이렇게 마실 수 있으니 기분이 좋습니다.

 

개인적인 이야기지만 맥주를 한참 배우던 시기에 카브루 증류장에 취업을 하고 싶었던 

때가 있었죠. 

 

뭐 이미 지나간 이야기지만 말이죠.,

 

 

Alc 6.3% /500ml로 일반적인 맥주에 비해서 조금 높은 편입니다.

나름 향에 대한 설명도 이렇게 친절하게 적혀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맥주를 좋아하는 분들에게 IPA 맥주의 특징을 

모르는 분들에 대한 배려인것 같네요.

 

재료들은 그렇게 크게 특이한 재료는 없습니다. 

 

 

제가 느꼈던 향은 고소한 곡물 빵의 향과 

꽃향, 과일향, 풀향을 느꼈습니다.

오렌지 향에 가깝지만 저는 뭔가 자몽에 가까운 느낌을 많이 받았어요.

 

탄산은 적당한 편이지만 생각이상으로 거품이 잘나는 맥주였습니다.

거품이 살살 꺼지면서 나는 향긋하고 상쾌한 향 풀향이 좋더라고요.

 

맛은 처음에는 쓴맛이 그리고 뒤에는 구수한 맛,

조금의 단맛이 감도는 편입니다. 

향긋한 맛이기도 하지만 쓴맛이 강하지 않아서 좋았습니다.

입안에 탄맛과 신맛도 느껴지는 등 좀 풍부하고 다양한 맛을 짧은 순간 순간마다

느낄 수 있는 맥주였네요. 

 

IPA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에게도 좋을 맥주라고 저는 설명드리고 싶습니다.

 

오늘 저의 구미호 IPA에 대한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항상 술을 찾고 즐기는데 있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길 술은 제가 처음으로 접하는 분야인 럼입니다.

그중에서도 좀 생소할 수 있는 토마스 하우스 화이트 럼(Thomas's House White Rum)이라는 친구죠.

 

왜 생소하냐고 한다면 저는 대형마트에서 이 친구를 한번도 본적이 없습니다.

하나로마트에 갔다가 봤거든요. 

 

Alc 37.5% / 1L로 생각보다 도수가 쌘 편입니다.

위스키나 보드카가 40%즘이니 그보다는 약하다고 볼 수 있는데 

그래도 37.5%면 상당히 강한 편이죠.

 

과연 과거에 수 많은 뱃사람들을 알중으로 만든 술 답군요.

가격은 12000원이었습니다.

 

원산지는 스페인이라고 표기되어 있네요.

 

 

들어간 재료도 럼 원액 99.998%과 럼향을 내는 것 만 심플하게 표기되어있습니다.

그래서 럼 원액은 뭘로 만든거냐고... 전통적으로 사탕수수를 사용했나?

 

본격적인 맛을 탐구하는 방법은 역시나 그냥 위스키를 마시는 방법과 동일했습니다.

럼도 따뜻하게 마시기도 한다는데 커피나 핫초코에 타 마시는 식이라고 하는데

집에 커피도 핫초코도 없어서... 

스트레이트로 마셨을 때: 향에 있어서는 화학약품에 가까운 알코올향과

묘한 단내가 나며 희미하게 바닐라 비슷한 향이 조금나는 편입니다.

 

한 모금할 때마다 알코올향이 코를 퍽 찌르는데 숨쉬기가 힘들어서 

에어링을 해도 힘들더군요. 

맛은 좀 무거운단맛이 나며 약한 카라멜 비슷한 맛이나요.

묘하게 꼭 고구마 먹었을 때의 비슷한 좀 텁텁한(?)단맛이 납니다.

 

우선 마시고 나면 목이 무척 뜨겁습니다.

 

 

럼 앤 워터 : 상온의 물을 넣었을 때 

그 화학약품같은 알코올 향이 줄어들고 단내가 좀 더 잘 느껴집니다.

맛 역시도 좀 순해지는 편이며, 평범한 단맛이 나는게 인상적이었네요.

 

온더락: 희미한 알코올 향기가 나며

약한 단내가 납니다. 

맛은 좀 역해진 단맛이 나서 추천하고 싶진 않네요.

좀 강한 소주를 역하게 마시는 느낌입니다.

 

 

확실히 소주 계열이나 보드카, 럼은 차가운 얼음과의 궁합은 아닌 모양입니다.

그냥 차게 마시는게 청량감을 높여주는 정도?

 

보드카는 냉동실에서 버티는데 이 친구도 버티는지 궁금하긴 하네요.

 

마지막으로 럼 토닉을 만들어 봤습니다.

늘 그렇듯 럼 30-45ml를 넣어주고 

 

 

이번에는 레몬쥬스를 20ml 넣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집에 라임이 있으면 라임쥬스를 넣고

레몬이 있으면 레몬쥬스를 넣는게 좋더라고요.

 

가니쉬의 향과 혀에 닿이는 맛이 서로 다르면 머리가 혼란해서

맛을 즐기기가 어려운것 같습니다.

토닉워터로 잔을 채운 뒤에 저어주고 

 

 

레몬 가니쉬로 마무리 했습니다.

확실히 OO 토닉 으로 만들어 먹는게 대부분 다 그렇듯

술의 느낌을 최대한 지운 후에 음료로써 즐기는 방식이다보니

럼의 맛이 확연하게 줄어들더군요.

 

애초에 토닉워터도 단맛이 나는 편에 럼도 단맛이 있는 편이라

맛은 달았습니다.

향은 알코올향이 줄고 단내가 적게나고

레몬향 특유의 신향으로 럼의 향을 지워저서 좋더군요.

 

개인적으로 럼 칵테일인 그로그도 만들어봤는데 그건

다음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좀 중요한 부분인데 이 술이 숙취가 상당히 심한 편이었어요.

머리가 깨지는 듯 아프고 어지럽더군요.

 

이게 다음날도 아니고 마신 뒤 몇시간 지나지 않아서 와서 더 놀랬습니다. 

럼도 화이트, 골드, 다크순으로 맛과 향이 차이가 있다고 하는데

이번 기회에 이렇게 화이트 럼을 접해서 좀 신기했어요.

 

싸구려 느낌이 많이 나긴 하지만 나름 재밌는 술이었습니다.

앞으로도 이 친구로 럼 칵테일을 만들어보고 올려볼 생각입니다.

 

오늘 이렇게 저의 토마스 화이트 럼에 대한 후기는 여기까지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술을 찾고 즐기시는데 있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길 탄산음료는 바로 

탐스제로(Tams Zero)사과키위향 입니다.

 

솔직히 마트에서 빈번하게 봐왔고 인터넷에서도 유명한줄 알았지만

어째서인지 안마시고 있었습니다.

 

어쩌면 탄산음료를 한 박스씩 사다가 마시는 저에게 있어서 

냉장고가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해서인지도 모르죠.

초록색 디자인에 음료수도 초록색이라서 

약간 마운틴 듀가 생각나기도 합니다.

 

또 제가 워낙에 폴아웃을 좋아해서 그런지 약간 게임속의 방사능의 색에

가까운 초록색이라서 조금 여러 생각이 들기도 하더군요.

 

 

재료들은 그냥저냥 제로음료들에 들어가는 것들입니다.

솔직히 저는 재료보다는 사과와 키위의 조합에 대해서 

상당히 신기했습니다. 

 

하나의 맛만 잘내서 유명해지기도 힘든데 이걸 두가지를 스까서 만들어? 의문도 들었거든요.

탄산음료답게 탄산감도 나쁘지 않아요.

향에 있어서는 처음에는 키위향이 강하게 느껴지는 듯 하다가도

또 사과향이 나는 편입니다.

여기서의 사과향이라면 사과맛 젤리에서 잘 느껴보던 그런 사과향이에요.

 

 

맛에 있어서는 처음에는 톡쏘는 편에 

사과와 키위의 오묘하면서도 미묘한 조화와 또 단맛이

잘나는 편입니다. 

향에서도 느꼈던 사과맛 젤리에서의 그 사과맛과 키위를 컨셉으로 한

아이스크림에서 맛봤던 키위맛도 나는 편이죠.

물론 키위맛이 그렇게 강하게 나진 않았습니다.

 

전체적으로 사과와 키위의 조합이라고 해서 이상할 줄 알았는데

양쪽 맛이 균형을 이뤄서 좋았습니다.

묘하게 또 중독성 있는 맛이에요.

 

만약에 이 음료를 바탕으로 칵테일을 만들어야한다면?

얼음을 가득채운 잔에 탐스제로 사과 키위향을 80-100ml넣고 

보드카를 45ml 정도넣는게 제일 무난할 것 같습니다.

뭐 가니쉬로는 키위를 써도 좋고 사과를 써도 좋을 것 같아요.

 

향이 초록색으로 진한편이라 초록색을 내는 칵테일에 슬그머니 넣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 저의 음료수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음료를 찾고 즐기는데 있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길 술은 모건 데이비드 콩코드 (Mogen David Concord)라는 와인입니다.

생각외로 하나로마트에서 볼 수 있었던 와인이죠.

물론 점바점이라서 없는 장소도 있습니다만... 

 

아무튼 미국산 와인입니다 

Alc 11% 750ml에 7600원으로 나름 저렴축에 속하는 와인입니다.

여기서 더 확장된 사이즈가 있는데 3000ml에 19900원이더군요.

 

지점은 달랐지만 제가사는 동네에는 이 두 사이즈를 팔고 있었습니다.

솔직히 3000ml는 손님들이 오면 같이 마시거나 아니면 파티용이 아닌가 싶네요.

 

 

나름 한글표기도 잘되어 있는 와인이죠.

그래도 좀 상상도 못한 장소에서 만난 와인이지만 정말 재밌는 술인것 같습니다. 

 

 

향에 있어서는 상쾌하면서도 단내가 나는 포도향이나며

거기에 묘한 신내가 섞여 있습니다.

 

뭐 포도주스에 알콜을 섞은 듯한 냄새라고 생각하면

좀더 쉬울 것 같네요.

 

맛에 있어서는 깊고 진한 단맛, 전형적인 음료수 같은 

포도주스타일에 또 단맛 뒤에 쓴맛과 알코올 특유의 맛이

많이 나며, 전체적으로 무거운 느낌의 스위트 와인입니다.

 

음료처럼 즐길 수 있는 와인이라서 저는 좋았던것 같습니다.

복합적이고 신맛이 강한 와인보다는 그냥 집에서 포도로 담근 술맛 같아서

친근하고 어렵지 않아서 좋았어요.

 

단맛이 강하게 나는 편이라 약간 매운 음식과도 잘맞을 것 같고

치즈나 고기(스테이크류)와도 잘 맞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가격이 나름 싼편이라서 쉽게 접할 수 있는데다가 맛도

무난해서 저는 무척 마음에 들었어요.

 

처음에는 걱정을 많이 했는데 

와인을 잘모르는 저역시도 쉽게 즐길 수 있어서 저는 호감이었습니다.

 

오늘에 저의 모건 데이비드 콩코드 와인에 대한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항상 술을 찾고 즐기는데 있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길 음료수는 데일리주스 오렌지 

(Daily Jus Orange)입니다.

 

항상 파리바게트에 갈때마다 봤던 음료수인데 

최근에 1만원짜리 해피콘을 사용하러 갔다가 결국에는 사게 되었죠.

솔직히 많이 궁금했지만 제돈으로 사먹기엔 가격이 너무 강해서 쳐다보기만 했습니다. 

쬐끄만 크기에 200ml 가격은 2천원으로 보기보다 강력한 녀석입니다.

아마도 빵이나 케잌을 사러오거나 커피나 디저트류를 마시러 온 커플이라던지

아이와 함께온 부모님들의 지갑을 노리는 음료가 아닌가 싶어요.

 

 

농축액도 들어가긴 했지만 어느정도 맛을 낸 음료입니다.

묘하게 병문안용 오렌지주스의 상위호환에 가까운 느낌이에요.

 

좀 여담이지만 진짜 생오렌지 주스는 신맛이 강하고 떫은 맛이 있어서 

저는 좀 싫어합니다.  

 

그렇다면 맛은 어땠는가?

오렌지 주스치곤 진한색에 맛 역시도 진한 느낌이 많이나요.

좀 저렴하게 사는 오렌지 주스들과 달리 맛이 진하게 나며

전체적으로 약한 단맛과 신맛이 잘나는 편입니다.

 

향에 있어서는 오렌지향이 살짝나고 신향이 많이나며,

단내는 조금밖에 안나요.

 

풍부한 맛을 가진게 상당히 매력적이었습니다만 

가격이 너무 강력하여 또 먹고 싶진 않았습니다.

 

만약에 이 주스를 칵테일 재료로 사용해야겠다면?

뭐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스크류드라이버를 만들면 정말

잘 맞겠다 싶었습니다.

 

보드카의 독함을 진한 오렌지 맛으로 감출수 있으니까요.

그 외에도 맛이 풍부한 편이라서 무알콜 칵테일의 재료로 사용해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모처럼 기회가 생겨서 이런 사치를 누릴 수 있어 좋았네요.

오늘의 저의 데일리주스 오렌지에 대한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음료와 술을 찾는데 있어 작은 이정표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길 술은 증류식 소주중 하나인

일품(一品) 안동소주 입니다. 

그중에서도 21도 짜리죠.

 

좀 아쉽게도 제가 사는 지역에서는 안팔아서 

예전에 천안쪽에 체력검사를 하러갔다가 트레이더스에서 구입을 했습니다.

Alc 21% /350ml로 생각보다 생긴 것에 비해서는 양은 작은 편인데

실제로 봤을 때 병이 작다고는 생각이 안듭니다. 

 

100파이퍼스가 200ml로 아담한 사이즈였다면 얘는 350ml임에도 일반적인 소주병에

가까운 크기에요.

 

 

재료에서 뭔가 눈에 크게 띄는 것은 없습니다.

그냥 효소나 조효소가 들어간다는 정도? 

 

이번에도 소주를 어떻게하면 좀 더 다양한 맛을 알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결국에는 또 위스키를 즐길 당시에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스트레이트로 마셨을 때, 정종 비슷한 향,쌀향

묘하게 신향이 나는 편이며 좀 상쾌한 배향에 가까운 향이 납니다.

거기에 알코올향이 느껴지는 편이죠.

 

 

에어링을 했을 때 위스키마냥 벽을 타고 흘러내리는게 좀 신기한 편입니다.

맛에 있어서는 처음에는 신맛과 쓴맛 그리고 뒤에 단맛이 살짝나며

알코올이 생각보다 강하게 나진 않습니다.

 

청량하고 순하며, 깔끔한 느낌이에요. 

소주 앤 워터 일명 물타기를 했을 경우

신향이 줄어들고 쌀향과 배향이 좀 더 잘 느껴졌습니다.

 

전체적으로 맛에 있어서는 쓴맛이 줄고 단맛이 좀 더 잘 느껴지며,

알코올 특유의 맛이 또 강해지더군요.

그래도 전체적으로 순해지는 감이 있었습니다.

온더락의 경우에는 보드카처럼 무색 무취에 가까워졌습니다. 

 

희미한 알콜냄새만 나며, 맛에 있어서는 쓴맛이 강해지고

단맛이 상대적으로 적어졌습니다.

 

저는 쓴맛이 강해지면서 역해져서 오히려 더 먹기가 힘들더군요. 

그냥 쓴맛이 강하게 나는 보드카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소주앤 토닉을 만들어봤습니다.

처음에는 라임쥬스를 먼저 넣고 소주를 한잔 정도 넣었는데 

개인적으로는 라임쥬스보다는 레몬쥬스쪽이 더 어울릴것 같더군요.

 

[재료는 작은 잔 기준 얼음 가득(또는 큰 얼음)

라임쥬스 25ml, 토닉워터 80-100ml, 레몬 한 조각]

거기에 토닉워터를 넣고 

 

 

 

살짝 살짝 섞어준뒤에 

레몬 가니쉬로 마무리 했습니다.

확실히 향에서는 소주의 원래의 향은 느낄 수 없고

그냥 가니쉬나 넣은 쥬스의 향에 따라가는게 좀 인상적이었습니다.

 

그냥 라임쥬스와 토닉워터의 맛이 강하게 느껴져서 안동소주 본연의 맛이

희석되어 느끼기 힘들더군요.

 

만약에 토닉워터를 사용하지 않았더라면 그냥 

슬랫지 해머와 비슷한 맛처럼 되는 것 같습니다.

 

전체적으로 보드카와 성향이 비슷한 소주인것 같습니다.

청량하고 깔끔한데다가 순한 맛이에요. 

 

소주 본연의 맛도 무난한지만 다른 술에 타마실수 있는 칵테일용으로 활용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팁이지만 큰 잔 기준으로 얼음을 가득 채운 잔에 

라임쥬스or 레몬쥬스 25-40ml, 안동소주 45ml ,콜라 190ml 작은캔을 사용하면

그냥 음료수처럼 즐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소주 쪽은 잘 즐기는 편이 아니라서 모르지만 

희석식 소주에 비해서 처음마셨을 때 인상찡그리게 되는 알코올 맛이 적고

깔끔해서 좋은 것 같습니다.

 

오늘 저의 일품 안동소주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항상 술을 찾고 즐기시는데 있어 작은 이정표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간만에 독일맥주중에서  카이저돔 시리즈를 마시게 되었습니다.

바로 카이저돔 필스너(Kaiserdom Pilsener)죠 

 

켈러비어 ,다크라거,헤페바이스는 좀 자주 봐왔지만 

필스너는 처음본 것 같습니다. 

다른 시리즈와 달리 그냥 시퍼런 파란색이 상당히 

인상적인 편입니다. 

 

저번에 휴가때 고향에 내려갔다가 샀다가 그냥 두고 갈려고 했는데

부모님이 제 짐속에 챙겨두셨더군요.

 

니가 산건 니가 가져가서 먹으라는 뜻이셨는데 뭐 덕분에 마실 기회가 되어 좋았습니다.

 

 

 

Alc 4.7% / 500ml 

캔 자체에 한글 패치가 되어 있는것도 좀 신기하네요.

들어가는 재료는 역시 맥주순수령의 나라답게 물, 맥아, 홉이 끝입니다.

 

 

탄산감이 나쁘지 않아 목넘김이 좋으며, 거품은 잘나는 편이지만

또 금방 사그라드는 편입니다.

 

향은 상쾌한느낌의 풀향과 고소한 곡물의 향, 약한 곡물빵내가 나는게 좋더군요.

맛에 있어서는 처음에는 필스너 맥주치곤 상당히

신맛이 강하게 나다가도 또 뒤에 구수한 곡물의 맛과

쓴맛과 묘한 탄맛 비슷한 맛이 나는 편입니다.

 

솔직히 낯설면서도 익숙한 맛이나는게 좀 특이했습니다.

여기서 신맛이라는게 약간 에일류에서 느끼는 신맛과는 좀 다른

신맛이라 특이했고, 묘한 탄맛이 나는 것도 좀 신기했어요. 

거기에 단맛은 없어서 좀 거친 맛의 필스너라고 표현해드리고 싶네요.

 

계란토스트와 먹었는데 계란토스트의 설탕에 의한 단맛

그리고 케찹의 시큼한 맛과 또 카이저돔 필스너의 쓴맛과 탄맛이

어울려서 나름 괜찮은 식사를 할 수 있었습니다. 

 

스테이크 같은 고기와 무척 잘맞을 필스너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다른 분들의 입맛엔 어떨지 모르겠네요.

 

카이저돔 필스너에 대한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술을 찾고 즐기시는데 있어 작은 이정표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길 술도 또 막걸리입니다.

바로 내포생막걸리죠.

 

좀 특이한게 병 디자인에는 내포 막걸리인데 제품명은 내포 생 막걸리입니다.

인터넷 지도로 찾아보니 그냥 같은 장소로 나오더군요.

 

심플한 디자인에 스스로가 막걸리임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여러 술에 대한 후기를 쓰다보면 어떤 날에는 맥주가 또 어떤 날에는 증류식술이

땡기는 등 참 다양한 기분이듭니다.

 

물론 요즘 시기에는 막걸리가 자주 땡기는 것 같아요.

 

Alc 6% / 750ml

 

다른 막걸리와의 차이점이라면 어떤 쌀을 쓰느냐에 대한 표기와

밀의 사용여부에 대한 표기가 눈에 띄는 점 외에는 여타 막걸리와 비슷한 재료가

들어가는 편입니다. 

 

물론 밀이 들어가기 때문에 밀 알레르기가 있으신 분은 못드시겠네요.

뭐 지금까지 여러 막걸리 후기를 남겼지만 밀이 들어가는 걸 본 경우는 이번이 처음인 것 같습니다.

 

 

한 지역 내에서 다양한 막걸리가 나오고 있고 그런 막걸리를 접할 일이

많다는 점에서 뭔가 좀 새로운 관점의 술을 보는 것 같아 

저는 개인적으로 즐거운 편입니다.

 

본격적으로 내포 생 막걸리에 대한 후기를 남기자면

우선 향에 있어서는 고소한 곡물향과 살짝 단내가 나고

전체적으로 신내가 많이 나는 편입니다. 

전체적인 누룩의 향이 주가 되는 편인데 묘하게 산미에서 느낄 신내가 많이나요.

 

맛에 있어서는 처음에는 전체적으로 구수한 쌀의 단맛과 단맛이 깔끔한 편에

신맛이 좀 많이 나는 편입니다.

끝 맛에는 살짝 쓴맛도 느껴지는 편이에요.

전체적으로 단맛이 적고 약해서 좀 싱겁게도 느껴지는 편입니다.

 

좋게 말해서는 건강한 맛으로 느껴지는 편이지만 제가 워낙 자극적인

단맛에 길들어져 그런가 전체적으로 싱거워서 자칫 개성이 없는 것 같아요.

 

약간 어르신들이 너무 단거 먹으면 몸에 해롭다며 설탕을 빼버리는 느낌이라

제 입맛에는 안맞더군요.

 

그래도 장점으로 보자면 같이 먹는 음식의 맛을 해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막걸리치곤 좀 더 다양한 음식과 먹을 수 있는 (?)그런 맛정도로도 볼수 있을 것 같아요.

 

그래도 나름 재밌는 경험이 된것 같습니다.

 

저의 이번 술에 대한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며, 항상 술을 찾고 즐기시는데 있어 작은 이정표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