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남길 후기의 술은 조금 특별합니다.

바로 막걸리이기 때문이죠.

 

표지에서는 막걸리라는 표기는 따로 되어있지 않고

기타주류라는 설명만 적혀 있습니다.

 

계속해서 맥주에 대한 후기만 남기기엔 애매해서 사이사이에 여러 술에

대한 후기를 남겨야겠다 싶어 뭘 마셔볼까하다가 찾게 되었지요.

 

 

캔의 입구와 글이 쓰인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는 이유가

처음에는 마케팅적인 면인줄 알았는데 

원료 성분이 바닥에 가라앉아 있기 때문에 흔들어 먹기 편하라고

이렇게 출시되었다고 하네요.

 

[처음에는 잘못나온 건줄 알았는데 캔은 죄다 이렇더군요.

패트병으로도 나온다고 하던데 패트병에는 정상적으로 되어있습니다.]

 

 

 

 

Alc 6% / 350ml로 일반적인 맥주보다는 1도 정도 높은

도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마시다보면 그렇게 도수에 대한 생각도 안들고 

알밤 동동이 가진 매력에 대해서 알게되더군요. 

 

밤농축액과 시럽 ,추출물이 들어있네요.

그외 여러가지 자잘하게 들어있는데 대부분의 재료가

효모가 발효하는 과정에서 당을 소비하며 알코올을 뱉기 위해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마시기전에 원료 성분이 갈아앉아

흔들어 마시라고 하지만 막걸리에는 탄산이

들어있기 때문에 많이 흔들지 않는 걸 추천드립니다.

 

일반적인 막걸리보다는 좀 짙은 아이보리색에 가까운

편이더군요.

 

탄산기도 있긴한데 이름마냥 톡 쏘는 느낌보다는 탄산이 있어서

그나마 목넘김이 괜찮다하고 느낄만큼 들어있는 편입니다.

 

막 탄산음료마냥 강한 편도 아니고 딱 적당한 편이죠.

맥주보다는 좀 덜 느껴지는 편입니다.

[효모의 발효과정에서 생긴건지 아니면 생산 이후에 

넣은 건지는 잘모르겠네요.]

 

향에 대해 묘사하자면 달달한 밤의 냄새 사이에

곡물향이 은은하게 나는 편이고 약간 신맛나는 요구르트에서

나던 냄새가납니다.

[아침햇살 음료수에서 맡던 향도 있어요]

 

전체적으로 밤의 향기가 많이나는 편입니다.

 

맛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일반적인 막걸리의 맛에 밤의 맛이

강하게 느껴지는 편이에요.

달달한 밤과 사이사이에 약간씩 신맛이 있으며 구수한 느낌이 많이납니다.

[예전에 밤이 유명한 지역인 공주 밤 막걸리를 마셔봤는데 

그쪽보다 더 달게 느껴지는 것 같네요]

 

음식과의 궁합을 설명하기가 상당히 애매한게

얘가 가진 맛 자체가 강한 편이라 음식의 맛을 잡아먹는 편입니다.

약간 텁텁한 끼도 남아서 맛이 오래가거든요.

 

부추전이나 김치전같은 전 요리나 보쌈과 김치같은 음식과

잘맞을 것 같습니다.

 

기름진 음식과는 거리가 좀 멀어요.

[저는 감자 샐러드와 함께 먹었는데 양쪽다 텁텁한 끼가 있다보니

영 아니였습니다 ㅠㅠ] 

 

확실히 제가 좋아하는 주류인 맥주와는 다른 세계였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저번에 리퍼비 바이스 비어에 대한 후기를 남겼다면

오늘은 리퍼비 IPA에 대한 후기를 남길때군요.

 

뭐 캔의 디자인에 대해서 이야기할 것은 없고

[저번에 길게 설명을 했기 때문에 또 하면 사실상 뇌절이죠 ㅋ]

 

뭐 여기서 설명할 점은

편의점이나 대형마트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맥주라는 사실을 

다루고 싶었습니다..

 

편의점 맥주들 대부분이 라거 계열이다보니 IPA는 좀

만나기 힘들거든요.

 

유럽의 시각에서 본 아시아인의 모습을 담은 걸로 보이는데

제가 봤을 때는 동남아시아 계열의 여성의 이미지를 담은 게

아닌가 싶습니다.

 

뭔가 좀 이국적인 분위기를 담은 것 같기는 하군요.

 

[IPA란 인디아 페일 에일을 뜻하는 말입니다.

에일류의 맥주나 페일 에일 맥주가 익숙치 않은 분들에게

있어서는 상당히 취향 타는 맥주라고 간략하게 설명할 수 있겠네요]

 

 

Alc 5.0% /500ml로 보기와 달리 상당히 

표준적인 도수를 가지고 있는 맥주입니다.

 

[덤으로 맥주 순수령에 따라 물 맥아 홉을 사용한 맥주죠]

 

IPA맥주를 좀더 자세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그냥 캔에 바로

마시는 것보다 전용잔이나 잔에 따라 마시는 편이 향이나 맛을 

조금 더 풍부하게 즐길 수 있다고 봅니다.

[그냥 제 개인적인 의견이에요]

 

(여담으로 기존에는 작은 밥상이나 컴퓨터 책상에서 사진을 찍었는데

생각보다 제 자취방 냉장고 위에 두고 찍으니까 괜찮게 찍히는 것 같습니다.)

 

 

리퍼비 바이스 비어때도 그렇고 생각보다 풍성하게 거품이 나는

스타일입니다.

 

탄산도 좀 톡톡 쏘는 편이지만 거의 표준적이고 목넘김이 좋은 편이에요.

대신 단점이 있다면 거품이 빠른 시간내에 줄어든다는 점.

 

향에 대해서 묘사하자면 맥아와 홉의 향기가 서로 공평하게 

나는 편이며, 꽃과 과일향이 나는 편입니다.

그리고 알게 모르게 신맛을 연상하게 하는 향도 나는 편이에요.

 

맛에대해서 적어보자면 

오렌지,레몬에 가까운 맛이 나는 편이며, 단맛을 느끼기 힘든 편입니다.

구수한 맛도 거의 느껴지지 않고 신맛과 쓴맛이 나는 편이지만

다른 IPA와 달리 묵직한 쓴맛이 없는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스타일이더군요.

 

IPA가 익숙치 않은 분들, 향은 좋아하지만 많이 쓴맛을 싫어하는 분들에게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될것 같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IPA특유의 쓴맛을 즐기는 분들에게 있어서는 조금 싱겁게

느껴질 수 있다는 점이죠.

 

근데 제가 봤을때는 정말 가볍고 부담없이 즐길 수 있어서

더없이 좋았던 것 같습니다.

 

음식에 대한 페어링으로 생각해봤을 때 IPA특유의 맛이

음식의 맛을 잡아먹어버리는 데 얘는 좀 덜해서 좋더군요. 

 

남녀노소 상관없이 즐기기 좋은 맥주에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어느덧 여름이 끝나고 가을이 되어가는 요즘에 어울리는 

맥주를 찾기가 쉽지가 않죠.

 

오늘은 가을에 맞는 맥주인 리퍼비 바이스 비어(Reeper B. Weiss beer)에

대한 후기로써 이 맥주에 대해서 알려드릴까 합니다.

[사실 가을에 맞는 맥주라고 소개했지만 다 제 주관적인 겁니다 ㅋㅋ]

 

리퍼비 맥주는 독일에서 온 맥주로 얘네 회사가 만든 대부분의 맥주들이

항구에 가깝고 홍등가가 많은 지역이었던 리퍼반(또는 레퍼반)에서 어원을 따온

맥주예요. 

 

뭔가 생긴 것도 그렇고 디자인이 뭔가 미국 카툰 풍에 가벼운 느낌을 

받을 수 있는 모양세입니다.

[우리나라였다면 프로불편러들이 들고 일어났겠죠]

 

일반적인 맥주의 디자인이 뭔가 항상 고급스럽고 신비로운 컨셉이나

화려한 이미지였다면 리퍼비는 좀 인간적인 면을 담았다고 생각이 듭니다.

 

맥주의 스타일도 그렇고 캔의 디자인도 좀 가볍게 느껴지는 편이라

신선하네요.

 

Alc 5.4% /500ml로 보기보다는 도수가 조금 있는 편의 맥주입니다.

 

그리고 원래 밀맥주라는 건 대충 이름을 통해서도 알수 있는 부분이지만

굳이 특별하게 밀 맥아 10.3% 함류를 강조함으로써 자신이 밀맥주라는 걸 뽐내고 있군요.

어떻게 보면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대중에게 있어서 밀맥주가 좀 생소할수 있기 때문에

구매전에 알고 사 마시라고 적어놓은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밀맥주를 잘 즐기기 위한 방법인 일정량을 따른 뒤에 바닥에 깔린 효모를 섞어

마시는 것에 대한 설명이 쓰여있군요.

[즉 정말 완벽하게 즐기고 싶다면 컵에 따라 마시라는 거겠죠]

 

 

전체적으로 바이젠 맥주치곤 탄산이 좀 있는 편이며,

거품이 잘나는 편이었습니다.

 

하지만 거품이 풍부하게 나는 대신에 유지력이 짧은 편으로 앗! 하는 순간에

거품이 사그라들더군요.

 

향에 대해서 평가하자면 바나나향과 열대과일향이 나는 편인데

좀 오래놓고보면 면도 크림냄새와 비슷한 냄새가 나는 편입니다.

 

색상도 탁한 편에 진한 주황색에 가까운 편으로 바이젠의 고유적인

특징을 두루갖추고 있는 맥주죠.

 

맛에 대해서 평가하자면 기존에 제가 마셔온 바이젠과는 좀 차이점이

있습니다.

 

상당히 좀 가벼운 편으로 단맛과 열대과일맛이 나는 편이긴 한데 

좀 연하다고 설명할 수 있겠네요.

쓴맛이나 신맛이 없으며, 전체적으로 달달하다는 느낌을 크게 

받았습니다.

 

나쁘게 말하면 좀 싱겁고 좋게 말하면 가볍게 즐길 수 있다고 봐야겠죠.

그리고 다른 바이젠과 달리 탄산이 좀 있는 편이라 톡쏘는 느낌이

있는 편입니다. 

그래서 목넘김도 나름 좋은 편이고 깔끔한 느낌을 받았어요.

 

대부분의 음식과 궁합이 잘맞는 맥주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조금 짠 음식과 느끼한 음식과도 궁합이 잘맞을 거라 생각이 되네요.

 

아쉬운 점이 있다면 제가 생각했던 맛과는 조금 다르다는 점?

그 외 나머지부분들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이시간에 남기고자 하는 후기는 바로

하이트진로에서 나온 맥주중 하나인 맥스[Max]입니다.

 

근데 지금 가만히 생각해보니 어느 순간부터 한글 표기가

없이지고 영어식으로 바뀌었더군요. 

[뭐 마케팅적인 요소가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맥스라는 이름 밑에 올 몰트 비어라는 문구가 추가 되었습니다.

뭐 이점은 예전부터 국산맥주에 대한 비난과 조롱이 있었기 때문에

달린 것 같지만 저는 그렇게 크게 다룰 생각이 없어요. 

 

예전에 마셨을 때의 느낌은 상당히 좀 안좋았던 기억밖에

없는데 2019년에 들어서 마신 이후에는 생각보다 더 좋았던 것으로

기억에 남습니다.

 

[아마도 제가 병에 담긴 맥주를 마셨던 것 같은데 

그 당시에 두병째 마시고 상당히 실망했던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 하얀색과 황금색 배치가 실제 맥주의 

색을 담은 것 같아서 뭔가 정이드는 감이 있습니다.

 

 

 

아쉽게도 집 근처 마트에서 큰걸 살수가 없어서 355ml 6캔 묶음 8220원에서 

할인 쿠폰을 통해서 370원 할인해 7850원에 사게 되었네요.

 

용량에 상관없이 Alc 4.5%로 표준적인 도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근데 항상 도수에 대해서 이야기하다보면 제가 도수에 대해서

말할 입장이 되는 지 안되는 지 모르겠습니다.

뭐 도수가 높을 수록 당연히 당분이 많이 들어갔을 건 알겠지만 

도수가 높고 낮고에 집중할게 아니라 맛과 향에 치중하는 게 맞는 것 

같기도 하구요]

 

예전에 맥주를 마실수 있는 나이가 아니다보니 지금까지 나온 맥스 스폐셜

시리즈를 마셔보지 못한 게 좀... 큰 아쉬움이 있습니다.

 

나 혼자 누리지 못한 것 같은 소외감... 대충 아시겠죠? ㅠㅠ  

 

맥스 맥주에 대해 본격적으로 후기를 쓸 차례군요.

 

맥주의 거품은 풍부하게 나는 편이지만

생각보다 일찍 거품이 사라지는 편입니다.

 

탄산감은 적당한 편으로 과하게 톡쏘지 않는 편이며

목넘김이 좋아요.

 

향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홉과 맥아의 향이 나는 편입니다.

좀 쌉싸른 한 향이 나며, 맥아의 구수한 향과 살짝 단내가 나는군요.

 

맛에 있어서는 쌉싸른 한 맛이 처음에 강하게 나는 편입니다.

전체적으로 구수한 맛이 나는 편이며 끝에 살짝 단맛이 나는 편.

 

남들은 아니라고 하겠지만 제가 먹었을 때는 밸런스가 잘 잡힌 맥주라고

생각합니다.

 

쌉싸른한 맛이 과하지도 않고 맥아의 구수한 맛과 적당한 선에서

균형을 이뤘으니까요.

 

안타깝게도 음식과의 궁합을 설명하기 어려운게

음식과 자주 먹은 적이 없어서 딱 이렇다라고 설명하긴 어렵습니다만

한국 맥주의 장점이 바로 다른 음식과의 궁합이라 서로 맛을 해치지 않기 때문에

 

기름진, 짠 음식과 조합이 잘맞고 볶은 음식과도 궁합이 잘맞을 것 같습니다.

뭐 튀긴 음식과 같이 먹는 다면 좋을 것 같고 

특히 부추향이 강한 만두와 먹었을 때 부추를 먹었을 때 텁텁함을 씻기에

가장 잘 맞는 맥주로 생각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이번에 제가 후기로 남기고자하는 맥주는 

국산 맥주인 하이트 엑스트라 콜드 [Hite Extra Cold]입니다.

 

사실상 하이트 맥주라고 하지 풀네임으로 불리는 일이 

없는 좀 묘한 맥주죠.

 

[기존에는 하이트 맥주:페일라거라는 명칭에서 엑스트라 콜드 공법으로

만든다고 전면적인 이미지 변화를 한것 같습니다 표기가 없어졌지 페일라거가

아닌 건 아니지만요]

 

하늘색에 가까운 색과 아이스 포인트라는 단어를 통해서

시각적으로 시원한 느낌을 줄려고 하는 것 같네요.

[뭔가 보면 볼수록 건너집의 카스 라이트가 생각이 나는 구석이 있습니다

생각해보면 하이트와 카스 둘다 예전에 하얀색 배경을 같이 쓰던 시절이 있었으니

따라가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ㅎㅎ]

 

그래도 이 맥주가 가진 장점을 캔의 디자인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Alc 4.5 /500ml로 표준적인 도수를 가진 맥주입니다.

예전에는 몰랐는데 전분을 이용한 맥주더군요.

 

[근데 전체적으로 전분을 이용한 맥주 특유의 맛이 없어서 

전분을 사용한지도 몰랐습니다]

 

예전에 말이 많아서 그런지 맥아함량:전분질 원료중 맥아 70%함량이라고

표기가 추가적으로 되어 있는데 아마 예전에 이에 대해서 말이 많았던

기사때문에 추가적으로 표기가 된 것 같네요.

[예전에도 적혀있긴 했지만 직접적인 원인이겠죠]

 

대형마트에서 1880원에 구입했습니다.

편의점에선 대략 2000원이 좀더 넘는 가격이겠죠.

 

제가 마시고 느낀 점들을 적어보자면

거품이 상당히 잘 올라오는 대신에 또 쉽게 꺼지는 편입니다.

향에 대해서 묘사를 하자면 단내와 구수한 맥아의 향이 전체적으로 잘 나는 편이고

홉의 향은 느끼기 어렵더군요.

 

 연한 투명한 황금빛의 색을 띄고 있습니다.

탄산도 적당한 편이라서 목넘김이 좋고 톡쏘는 느낌보단

부드럽다고 말하는 게 맞겠죠.

 

맛에 대해서 말하자면 처음에 단맛과 구수함이

퍼져나가면서 뒤에 미미하게 쓴맛이 나는 편입니다.

[쓴맛이라고 적긴 했지만 느낄새도 없이 없어지는 전반적으로 

깔끔한 맛에 가깝습니다.]

 

전체적으로 깔끔한 맛이라서

다른 음식과 먹었을 때 그 음식의 맛을 잡아먹지 않고 

같이 따라가는 편이에요.

 

예전에는 단맛이 약했던 것 같은데 더 강해진 것 같아서

좋았습니다.

 

대부분의 음식과 페어링이 좋은 편이고

기름진, 짠 , 매운 음식과도 궁합이 잘맞는 편이에요.

예전에 중국집에서 매운 음식과 먹었을때 매운 맛을 시원하게 달래서

내려주는 감이 있어서 좋았던 기억이 납니다.

[치킨과 잘맞는 편이지만 개인적으론 중국집 음식과 잘맞는 것 같습니다.]

 

전체적인 페일라거 스타일을 충족하는 맥주에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제가 남기고자하는 술의 후기는 바로

진로이즈백입니다.

 

소주를 그렇게 좋아하는 편도 아니고 마시는 편도 아니라서

기존에 제가 후기로 다뤄왔던 주류와는 좀 다른 후기가 될 것 같네요.

 

마트에서 지나가면서 볼때마다 뭔가 사고 싶어지는 묘한 매력이

있어서 결국엔 사마시게 되었습니다.

 

"초깔끔한 맛"이라고 뒤에 적혀 있으며 

복고풍에 가까운 디자인으로 회기했습니다.

 

생긴게 뭔가 소주가 아니고 탄산음료가 들어 있어도 좋을 법한

파란색병을 쓰고 있네요.

 

마트에서 1190(공병가 100원 포함)원에 구입했습니다.

기존의 초록색 병보다 뭔가 아담하고 귀엽게 느껴지네요

 

 

Alc 16.9% /360ml 로 기존의 소주보다는 

조금 낮은 편입니다만 제가 항상 마시는 술의 도수들을

고려해보면 그렇게 낮은 편은 아닙니다.

 

4.5~5.5%를 즐기는 사람에게 있어서 16.9%는 낮은 게 아니니까요.

그래도 원래 기존의 소주를 즐기는 분들에게 있어서는 

낮다고 느낄 수 있겠군요. 

 

 

[집에 소주잔이 없습니다...]

 

소주가 늘 그렇듯 투명한 색에 소주 특유의 알콜향이 살짝나는 편입니다.

근데 향이라고 해봤자 그렇게 강하게 나는 편도 아니라서 냄새에 민감한

분들에게 큰 문제는 없을 것 같네요.

 

맛에 있어서는 살짝 단맛이 나다가 쓴맛이 쪼끔나는 식입니다.

입안에 퍼지는 알콜의 향도 적은 편으로 정말 말그대로 깔끔하다고 설명할 수 있겠네요.

 

그외 특별하게 느껴지는 맛을 묘사하기가 힘듭니다.

맛을 묘사하기 힘들만큼 특별한 맛이 없다고도 설명할 수 있는데

나쁘지도 않고 괜찮았어요.

 

소주계의 드라이 맥주같은 느낌입니다.

말그대로 깔끔한 맛에 먹는 그런 소주에요.

 

 

칵테일에 보드카를 베이스로 깔듯 얘도 칵테일 형식으로 마셔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왠지 저는 소주를 그렇게 자주 마시는 편이 아니라서 고기 잡내를 잡거나

하리보 젤리를 넣어 불려 먹으면 좋겠다 싶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제가 후기로 남기고자하는 맥주는 바로

마카오 골든 에일[Macau Golden Ale]입니다.

 

 양심 고백을 하나 할께 있다면 마시고 난 다음에

기린 브루어리에서 만든 걸 알았습니다.

[뭐 이시국씨가 등판해도 별 할말이 없네요]

 

저는 그냥 이름이나 원산지만 생각을 했거든요... 

 

우선적으로 살펴보면 마카오 비어 골든 에일 

그래프트 비어라고 적혀있는 표기를 읽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밑에는 100%몰트와 아메리카 홉을 이용해 만들었음을 광고하고 있어요.

 

초록색과 노란색 그리고 옅은 황금색으로 디자인되어있으며 

홍콩을 상징하는 휘장과 비슷한 꽃모양과 성 바울 성당 유적지의 이미지가 눈에 띄는 편입니다.

 

뭐 대충 이만큼 마카오의 상징을 담은 만큼 대중성 있는 맥주가 목표인가 보네요.

  

 

 

[제조사만 봤어도...]

 

5.5% 500ml로 생각보다 일반적인 맥주에 비해

정말 약간 높은 수준의 도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뭐 0.5차이라고 해봤자 그렇게 특별하게 많이 느낄 수 있는 것도 아닌데

말이죠.

 

예전에는 보기 힘든 편이었지만 어느 순간부터 마트에 많이 출현하기

시작했습니다.

 

대형마트에서 2500원에 살수 있으며 4캔에 9400원에 구매할 수 있었어요.

생각보다 그렇게 비싼 편은 아니였습니다.

 

뭐 마셔본 느낌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거품이 풍부하게 올라오는 편이지만 거품이 빨리 꺼지는 편이며,

탄산감도 적당해서 가볍게 마시기 좋은 목넘김이었습니다.

 

색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좀 짙은 황금색으로

약간 호박색에 가까운 색을 가지고 있어요.

 

향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홉과 맥아의 향이 잘나는 편에

과일과 꽃향과 비슷한 향을 느꼈습니다.

 

맛에 대해서 평가하자면 살짝달고 과일향과

끝에 구수함과 쓴맛이 살짝 감도는 편이였어요.

묵직한 감은 전혀 없고 가볍다는 느낌이 상당히 강했습니다.

 

[에일과 라거의 장점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편]

 

전형적으로 맵고 짜고 기름기 있는 중국음식과의 궁합을 고려해서

만들어진 감이 큰 맥주라고 평가할 수 있겠네요.

 

얘도 나름 향이 있는 편인데 향이 강한 음식과 먹었을 때 어떨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제가 후기로 남기고자하는 술은 바로 독일에서

건너온 쉐퍼호퍼 그레이프후르츠[자몽]입니다.

 

사실상 밀 맥주에 자몽 ,레몬, 오렌지 쥬스를 섞어 만든 혼합형 맥주에요.

맥주라는 느낌보다는 탄산음료에 가까운 편입니다.

 

[밀맥주 Wheat beer +과일 쥬스 혼합형]

 

캔의 디자인에서도 자신들의 강점인 자몽의 향과 맛을 강조하고 

있음을 쉽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에 맥주에 대해서는 배운 적이 없었기때문에 처음에는 기타주류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었지만 성분을 보니 밀 맥아와 보리 맥아를 사용해 만든 맥주에

섞은 편이라서 맥주라고 부를 수 있더군요. 

 

칵테일 스타일처럼 마시기 편하고 술을 잘 못하는 사람들도

쉽게 즐길 수 있는 맥주입니다.

 

 

Alc 2.5 /500ml 

[정확하게는 자몽 라들러라고 불러야 겠네요]

 

우선적으로 거품은 잘나는 편이지만 상당히 빨리 꺼지는 편에

탄산감도 적당해서 자몽 탄산 음료처럼 느껴지는 편입니다.

 

하지만 밀 맥주를 베이스로 만들었지만 맥아의 향이나 맛을 전혀 느끼기

힘들고 홉의 향 역시 느끼기 힘듭니다. 

[맥아 특유의 구수한 맛 조차도 찾기 힘들어요]

 

대신에 자몽과 오렌지향이 진하게 나며, 입안에서 굴렸을 때 

자몽의 맛과 향이 풍부하게 나고 뒷부분에 살짝 쓴맛이 나는 게 나름 좋더군요.

그리고 달달한 맛이 오래 감도는 편이라 솔직히 이걸 라들러 맥주라기보단

그냥 혼합주류로 생각하게 되는 구석이 있습니다.

 

낮은 도수에 가볍게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본래의 역할을 다하는 술이라고

평가할 수 있겠네요.

 

[뭣보다도 술에 민감하거나 맥주의 홉이나 맥아의 향과 맛에

거부감이 있는 사람에게 좋을 것으로 생각 되요]

 

[약간 레이디 킬러 맥주같은 느낌?]

 

더운 여름철에 쉽게 즐기기 좋은 맥주고 또 대부분의 음식과도 상성이

잘 맞을 것 같습니다.

 

텁텁하거나 맵고 짠 음식이나 과일 샐러드, 생선 요리와도 잘 맞을 것 같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제가 후기로 남기고자하는 술은

바로 제주도에서 만들어진 귤로만 입니다.

 

감귤원액과 효모를 이용하여 만든 술로 정확하게는 

발효과실주죠. 

 

 

표지에도 제주 감귤의

감귤원액 34.14%를 이용했다고 홍보하고 있으며,

돌하르방의 얼굴이 병에 있는 게 좀 독특한 술입니다.

 

 

"차게해서 흔들어 드시면 더욱 맛이 좋습니다"

 

예전에 주류박람회에서 감귤와인을 사먹어본 경험이 있어서

대형마트에 주류코너를 서성이다가 발견하게 되었고 최근에서야

사먹게 되었지요.

 

뭔가 감귤향과 감귤의 맛을 담고 있는 술을 생각하면서 사게되었습니다.

[솔직히 생긴거나 홍보하는 내용에 있어서 감귤 주스에 가까운 술을

생각했지만 마셔보니 많이 달랐어요] 

 

[700ml / Alc 10%]로 보기와 다르게 도수가 조금 있는 술입니다.

제가 항상 즐겨마시는 주류의 분류가 맥주인 걸 생각해보면

4%~5%정도 높은 수준이죠. 

 

마트에서 대략 3000원 [제가 구입했을 당시에 가격]에 팔고 있더군요.

 

맛에 대해서 평가하자면 생김새와 색과는 달리 

감귤 주스와는 동떨어지는 맛이 많이 납니다.

 

처음에 약한 감귤의 맛 그리고 뒤에

새콤한 맛에 쌉싸름한 맛이 주로 나며

소주 비슷한 맛이 뒤에 남는 편, 

그리고 단맛을 느끼기에는 좀 많이 힘든 편이더군요.

[새콤 / 신맛 /쓴맛이 나서 단맛을 못 느낀 것 같기도 하니...]

 

향에서는 살짝 감귤의 향과 약간 발효된 요구르트에서 느껴지는 향이

살짝나는 데 아마도 효모의 발효과정에서 생긴 냄새가 아닌가 싶습니다.

 

첫날에는 그냥 바로 마셨는데 오히려 얼음을 넣어서 

희석시키면 감귤의 향과 맛을 좀 더 잘 느낄 수 있었습니다.

 

 

예전에 주류 박람회에서 사마셨던 감귤와인과 비슷한 맛이였어요.

전체적으로 제가 막 기대하던 맛이 아니라서 조금 아쉽습니다.

 

솔직히 감귤향이 팍나고 단맛이 주된 맛이었다면 누구나 쉽게 즐기는

맛이 아니였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네요.

 

 

샐러드나 생선요리와 궁합이 잘맞을 것 같습니다.

아니라면 칵테일식으로 만들어먹으면 좋을 것 같네요.

 

제가 생각한 칵테일의 경우에는 사이다 ,얼음 ,그리고 귤로만을 

살짝 넣어서 마시면 맛있는 칵테일이 되지 않을 까 싶습니다.

 

대략적으로 사이다 200~250ml, 귤로만 샷잔으로 2~3잔

얼음5~7개정도를 넣고 가볍게 저어서 마시면 나름 나쁘지 않을 것 같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제가 후기로 남기고자 하는 맥주는 펠트슐로센 우어복

[Feldshlößchen Urbock]입니다.

 

독일에서 건너온 이 맥주는 마트에서

저렴한 가격 1600~1800원대에 즐길 수 있는 맥주로

같은 펠트슐로센 시리즈와 같은 가격대로 판매하고 있어요.

 

가격이 싸고 진한 풍미와 약간 높은 알콜 함류량을 즐기고 싶다면

한번 도전해볼만 합니다 ㅎㅎ

 

 

펠트슐로센 우어복은 진한 와인색의 색상을 가지고 있네요

헤페바이젠과 슈바르츠비어와는 색에서부터 다른 맥주임을 강조하고 있는 맥주라서

사실 우어복의 색을 생각해보면 이런 와인, 진한 붉은 색보다는 갈색에 가깝게 했어야 맞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Alc 7.2.% / 500ml로 마트나 편의점에서 접할 수 있는 맥주와 비교했을 때,

,결코 낮은 도수가 아니에요

[대략 못해도 4.5~5.0]인걸 생각해보면 조금 높은

도수를 지니고 있는 맥주입니다. 

 

 

 

 

정제수, 보리맥아, 홉만으로 이렇게 맛을 내었다고 하는데 아마도

두 가지 이상의 맥아를 사용한게 아닌가 하는 추측이 듭니다.

 

[효모가 먹어야할 영양분을 보충하는 것도 있고 맛을 내기 위해서

보통은 두 가지 이상을 사용하는 편]

 

 것보다도 다양한 나라에 수출을 하는지 여러나라 언어가 적혀있네요.

 

 

전체적인 색은 진한 갈색에서 검정색에 가까운 색을 띄고 있습니다.

우복이라는 표기가 없다면 다크라거나 비엔나라거라고 생각할만하며

 

검정색에 무척 가까운 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향은 초콜렛이나 코코아비슷한 향이나며,약간의 희미한 홉의향이

나는 편더군요.

[약간 이해하긴 힘들지만 허브차에서 나던 향도 정말 적게 나는 것 같습니다]

 

맛에 있어서는 처음의 단맛이 살짝 감돌다가도 뒤에가면 다크 초콜릿과 

약간 커피맛에 가까운 맛이 나면서 또 뒤에 살짝 탄맛과 쓴맛, 고소함이 감돕니다.

 

그리고 뒤에 약간 소주 비슷한 알코올맛이 좀 크게 감도는 감이 있어서

여러 맛을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원래부터 흑맥주 계통의 맥주를 정말 사랑하는 저에게 있어서는 너무나도

고마운 맥주라고 평가할 수 있겠군요.

 

저렴한 가격에 이렇게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펠트슐로센에게 반하게 되었습니다.

 

대신에 가벼운 맥주나 과일에 가까운 향의 맥주를 즐기는 분들에겐

조금 낯설거나 꺼려지는 맛일 수 있습니다.

 

구운 소시지나 소고기, 닭고기와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구운 고기에 스모크한 맛을 보충해주는 것도 있고 고기를 먹다보면 땡기는 술의 유혹에

잘 부응하는 맥주에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