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만에 또 무알콜 맥주를 마셨습니다.

오늘 마신 건 클라우드 클리어 제로(Kloud Clear Zero)죠.

 

매번 무알콜 맥주라고 제목에 쓰고 있지만 사실 탄산음료입니다.

캔 앞면에는 성인용음료라고 적혀있죠.

350ml에 30kcal라고 적혀 있네요.

 

근데 전 사실 무알콜 맥주를 그렇게 좋아하지 않습니다.

겨울에 그저... 진짜 맥주를 먹으면 아파서 잘못 먹을 뿐

 

 

 맥주향을 내는 합성향료가 들어간다고

적혀있네요.

 

홉도 적혀있긴 하지만 마시면서 그렇게 홉의 향을 느끼긴 어려운것 같습니다.

 

그래도 하이트 제로와는 달리 당류는 있습니다.

1%라도있어서 정말 다행이야... ㅠㅠ

 

 

거품은 그렇게 많이 나지 않는 편입니다.

향에 있어서는 하이트제로때와 비슷한 향 씁고 텁은 향이 나는 편이며,

정말~ 약하게 단내가 조금 나는 편이네요. 

 

탄산감은 적당하며, 탄산음료답게 청량감은 있습니다.

 

맛은 처음에는 약간 구수한 맛 뒤에 바로 쓴맛과 텁은 맛

끝에 살짝 단맛이 있을 뿐 크게 맛을 느끼긴 어려워요

 

그래도 맛은 좀더 많이 느껴져셔 그나마 좋았습니다.

확실히 맥주의 대용이라는 느낌은 힘들어요. 

 

그냥 음식먹을 때 모자란 감을 살짝 보충한다는 느낌?

 

그래도 맥주는 아닌것 같아서 서러워졌습니다.

저의 후기는 여기까지

 

긴글 읽어주시느라

술을 찾고 즐기시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마트에 갔더니 필라이트 시리즈가 하나 더 나왔더군요.

가장 마지막에 봤을때가 레몬 라들러가 나왔을 때 였는데

어느세 자몽 라들러까지 나왔다는 게 좀 신기했습니다.

 

확실히 바이젠보다는 라들러쪽이 가볍고 좋기 때문에

라들러쪽을 크게 공약할 모양인가보네요.

 

아무튼 

필라이트 라들러 자몽(FiLite Radler Grapefruit)입니다.

레몬 라들러도 여러번 먹긴 했지만 따로 후기는 안적었더군요.

 

(뭐 다음에 마트에 갔을 때 있으면 적을 생각입니다.)

 

과일 발포주라니 조금 특이하다는 느낌도 드네요.

 

Alc 2% / 355ml로 상당히 가벼운 편입니다.

 

그래도 양이조금 아쉬워서 뚱캔보다는 500ml버전도 나왔으면 좋겠는데

라들러 레몬때도 그렇고 작은 버전만 보이더군요.

 

난 좀 더 큰걸 원해...ㅠㅠ 

확실히 재료에 있어서 원래 라들러가 맥주에 음료를 섞어만드는 거다 보니

음료수쪽의 재료들이 많이 보입니다.

 

더운 여름철에 음료처럼 즐기기 좋겠더군요. 

 

우선 처음의 거품은 잘나는 편이지만 금방 꺼져요.

그리고 탄산감은 중간정도이며 나쁘지않습니다.

 

딱 탄산음료처럼 즐길 수 있죠.

 

향에있어서는 신,산미의 냄새와 자몽냄새가 나는 편입니다.

전체적으로 신냄새가 많이나요.

맛에있어서는 처음에 자몽의 맛, 신맛,뒤에 단맛 그리고 

보리특유의 구수함이 남는 편입니다.

 

망고링고 리뉴얼전의 그 끝맛 비슷한 느낌이나서 

얘가 완전히 음료는 아니다라는 느낌을 남겨뒀던것 같아요.

 

여러모로 진짜 라들러처럼 즐길 수있는 술이 하나 더 늘었다는 점과

저렴하게 기분내기에는 나쁘지 않았던것 같습니다. 

 

 

뭐 술을 못하시는 분들이나 여성분들이 상당히 좋아할것 같네요.

 

짜고 매운 음식뿐만 아니라 기름진 음식과도 고기음식과도 잘맞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중국집 볶음밥과도 잘맞을 것 같아요.

 

3캔째 마시고 느낀 점이지만 괜찮은 술인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술을 찾고 또 즐기시는데 있어서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요즘 뭐랄까 조금 증류주에 대한 관심이 많아진 것 같습니다.

뭐 어떻게보면 병때문에 맥주같은 주류를 많이 마실 수 없게된 것도 있지만

뭐랄까 새로운 주류에 대한 입문 시도가 많아졌다고 봐야겠죠.

 

그래서 오늘 후기로 남길 술은 길비스 보드카(Gilbey's Vodak)입니다.

 

보드카하면 항상 폴란드나 러시아가 생각이 났는데

길비스는 의외로 영국산 보드카였습니다.

 

대형 마트 기준으로 가격은 9000원 도수와 양 대비 가격은 저렴하다고

생각되어지네요.

 

 

Alc 37.5%/ 700ml 

 

보드카를 어떤 재료로 만들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보드카 원액 100%라고만

적혀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작물로 만들었는지 감도 안오는군요.

 

 

따르면 묘하게 희미한 알콜향과 뭔가 모를 상쾌한 향이

정말~ 정말 적게나는 편입니다.

 

무색 무취라는 말이 정말 잘 들어맞을 정도로 향을 느끼기가 힘든 편이에요.

맛에 있어서는 적은 단맛, 그리고 묘한 매운맛이 나며

전체적으로 맛을 느끼기 힘들다라고 표현하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약간의 곡물 증류라 그런가 곡물주 비슷한 맛도 나요.

묘하게 부드럽고 깔끔하다는 느낌도 드는 편입니다.

 

확실히 보드카 특유의 목구멍이 뜨끈해지는 느낌이 있지만

맛과 향이 자기 주장이 너무 적어서 과연 칵테일의 주베이스가 되는 술 답다고 생각되어집니다.

 

살면서 가장 표현하기가 힘든 술이 있다면 보드카를 꼽고싶네요.

 

하지만 긍정적으로 생각해보면 알콜향이 적고

특유의 맛은 싫어하지만 술은 마시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술이라고 생각되어집니다.

 

거기에 같이 먹는 음식의 맛을 전혀 해칠수도 없고 다른 음료에 타먹어도 맛을 도와줄뿐 

없애지않으니 묘한 만능 칵테일 재료로도 생각할 수 있겠다! 싶네요.

 

저의 후기는 여기까지이며, 술을 찾으시고 즐기는데 있어서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홈+를 갔다가 특이한 맥주를 하나 발견했습니다.

 

국산맥주에 수제맥주인 마시라거(Mars-i-Lager)라는 맥주였죠.

그냥 수제맥주라서 눈이간게 아니라 좀 특이한 이름과 맥주팔아우주간다는 좀 웃기는 문구 때문이었습니다.

 

'NASA우주인이 좋아하는'이라는 문구와 우주인 모양이 눈에 띕니다.

그리고 화성으로 추청되는 배경도 눈에 띄는데... 아마도 일론 머스크의 화성갈끄니까

밈을 따라간 모양입니다.

 

밈을 반영한 맥주... 다음에는 도지인가? 

 

Alc 4.8%/500ml

 

네덜란드, 미국, 독일산 보리맥아와 독일산 호프펠렛을 사용했다고 표기되어있네요.

그외에는 특별하다라는 느낌은 모르겠습니다. 

 

 

색은 연한 호박색에 가까워요.

 

우선 거품이 상당히 풍부하게 일어나는 편이며, 이 거품들은 빠르게 꺼지는 편입니다.

탄산감도 그렇게 강하지 않고 좀 약하다고 생각되어지지만 목넘김은 나쁘지 않았어요.

 

향에 있어서는 고소한 곡물과 빵향 그리고 구수한 향과 희미한 홉의 향이 나는 편입니다.

 

 

맛에 있어서는 처음에는 구수함과 고소한 곡물의 맛과 뒤에 살짝 쓴맛이 나는 편이며,

약한 단맛이 나는 편입니다.

 

입안에 구수한 맛이 남는 편인데 제가 생각하고 원했던 비엔나 엠버라거의 맛은 아니었던것 같습니다.

조금 묘하게 연한 느낌? 조금 묘한 싱거움마져 느껴졌어요. 

 

무게감은 전혀 없어서 가볍게 즐길 수 있는 느낌이었습니다. 

거의 왠만한 음식들과 궁합이 잘맞을 것 같아요.

매운 음식이나 기름지고 짠 음식이나 다 좋을 것 같습니다.

 

원했던 맛은 아니지만 좋은 경험을 한 것 같아요.

저의 후기는 여기까지이며, 맥주를 즐기고 찾으시는데 있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저번에 메이커스 마크를 샀었을 때 

챙겼던 나이트캡(올드 패션드)를 만들어 봤습니다.

 

나름 그래도 손이 많이가게 만든 첫 칵테일이였죠. 

재료는 위스키, 시럽(한 병 다 비우고 시럽병으로 쓰고 있습니다.)

쌍화탕(앙고스투라 비터 대용이라고 하네요),얼음, 가니쉬용 황금향

 

오렌지를 쓰고 싶었는데 요즘 마트에 오렌지를 안팔아서 

황금향을 저렴하게 팔기에 사와다 썼습니다. 

 

쌍화탕 10ml, 설탕 시럽 10ml, 위스키 30ml~45ml를 온더락 잔에 넣어줍니다.

뭐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순서는 상관없어요.

저는 시럽을 먼저 넣고 

 

쌍화탕, 위스키 순으로 넣었습니다. 

잔 가득 얼음을 채우는게 올드 패션드의 국룰인것 같은데

저는 개인적인 취향으로 얼음을 그렇게 많이 넣지는 않았어요. 

6개정도? 

 

원래는 가니쉬를 넣고 숟가락으로 스까스까해줘야하는데

그냥 귀찮아서 얼음을 넣은 김에 바로 섞어줬습니다. 

황금향 껍질로 마무리...

 

 

우선 맛에 대해서 후기를 남기자면

메이커스 마크 위스키의 스모크향과 시럽의 희미한 단내

그리고 쌍화탕이 들어가서 그런지 쌍화탕 향이 묘하게 납니다.

 

첫 한 모금에 온더락 위스키 고유의 매운맛이 팍 나며,

뒤에 시럽과 쌍화탕의 단맛 그리고 쌉쌉할 쌍화탕 맛이

위스키의 매운 맛을 커버해줘요, 전체적으로 목구멍이 뜨겁긴하지만

기분 좋게 뜨끈해지는 느낌이라서 좋았습니다.  

 

맛있었습니다.

 

뭐랄까 시럽과 쌍화탕의 맛이 위스키와 어울러져셔 좋았어요.

그리고 안주로 황금향이랑 먹었는데 의외로 과일과 잘 맞는 칵테일인것 같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다양한 술과 다양한 음료들을 마시다보니

뭐랄까 맛에 대한 조합에 대해서 고민하고 생각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 남길 후기는 바로 웰치스 오렌지맛(Welchs Orage)입니다.

 

6개 팩을 사서 지금 거의 다 마시고 이렇게 후기를 쓰는군요.

 

항상 웰치스하면 딸기맛만 좋아하고 마셔온 저에게 있어서 

오렌지맛은 조금 색달랐습니다.

 

사실상 웰치스 맛의 최고존엄은 포도맛과 딸기맛인건 익히 알아왔지만

오렌지 맛이 나왔다는 건 몰랐거든요.

 

355ml 뚱캔입니다.

웰치스 오렌지맛의 특징은 그래도 예전 딸기맛과 다르게

마시고 나도 혓바닥 색이 찐하게 변하지 않는게 좋았습니다.

살짝 주황색이 뭍어나는 정도더군요.

 

그래도 딸기맛만 마시면 혓바닥이 빨간색으로 도배가 되는게

인상적이긴 했는데...

 

항상 탄산음료를 마시면 보던 재료들이 들어가있습니다.

그중에서 유별나게 눈에띄는 건 토코페롤

[식용 식물성기름에서 얻은 비타민 E의 한형태라고 하네요]

 

 

탄산감은 그렇게 강한편은 아닙니다.

그간 뭐 제가 제로슈거 콜라의 톡쏘는 청량감에 익숙해진건가 모르겠지만

적당한 편이라고 생각되어지네요.

 

향에 있어서는 오렌지 향 특유의 향긋함과 조금 신냄새가 느껴지는 정도고요.

 

그간 살면서 다양한 오렌지맛 주스나 음료를 마셔봤지만 

웰치스 오렌지 맛은 조금 다른 것 같습니다.

 

고유의 맛, 조금 중독성 있는 단맛, 상쾌한 단맛이라고 표현해야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여기에 가장 근접한 맛이 있는데 오렌지맛 발포 비타민맛과 조금 비슷하다고

느껴지더군요. 

 

발포 비타민에서 신맛이 많이 없는 느낌? 

같은 오렌지맛 탄산음료인 환타 오렌지와는 확실히 맛이 다른 것 같습니다.

 

웰치스 오렌지맛의 개성이 상당히 강한 편이라 향이나 맛이 강한 술과의 조합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칵테일을 만든다면 소주나 보드카와의 조합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네요.

 

뭐 스크류드라이버를 만들때 오렌지주스 대용으로 고려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의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요즘 뭔가 고도수 술에 대한 도전을 정말 자주 하는 것 같습니다.

오늘 후기로 남길 술은 바로 금용 고량주입니다.

 

항상 중국집에가면 자주는 봐도 저는 시켜 먹을 이유가 없었던 술이죠. 

Alc 50%, 250ml입니다.

 

가격은 1850원인데 그래도 나름 몇년째 가격이 오르지 않은 술이죠.

 

뒤에 뭔가 귀엽게 그려진 용이 인상적입니다.

 

 

고량, 보리, 완두, 정제수로 만들어진 술이라고 하는데

제품명이 그냥 고량주라고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고량은 또 뭘로 만드는지 의문점이 드는군요. 

 

우선 샷으로 마셨을때의 후기를 남겨보겠습니다.

 

향에 있어서는 약간 곡물향,누룩향에 가까운 향과 또 공업용 에탄올에

가까운 향 조금 꾸린내에 가까운 이취비슷한 향이 나는 편입니다.

 

맛에 있어서는 처음에 고량주 특유의 맛과 묘한 곡물맛, 묘한 콩 비슷한 맛과

뒤에 텁은 맛이나는 편이에요.

약간 깔끔한 느낌이 있지만 묘한 편이며, 도수가 도수다니 조금만 마셔도 

목이 뜨거워지더군요. 

 

전체적으로 물에 타마셔야될 것 같은 강한 도수였습니다.

확실히 저는 도수가 강한 술은 어려운 것 같네요. 

 

온더락식으로 마셔도 봤습니다. 

확실히 도수가 강해서 그런지는 몰라도 얼음이 금방금방 녹는 것 처럼 보이더군요.

원래 고량주는 온더락으로 마시는게 아니라곤 하는데 그래도 뭐 새로운 도전도

나쁘진 않을 거라고 생각 했습니다. 

 

확실히 온더락으로 마시니 곡물주 특유의 누룩향이 많이나는게

느껴졌습니다.

 

위스키의 경우 온더락으로 마시면 매운(?)느낌이 강해졌는데 

얘는 온더락으로 마시니 더 텁은 맛이 많이나더군요.

 

목이 후끈해지는 건 없긴한데 텁고 싱겁고 쓴맛이 많이나서 

확실히 그냥 샷으로 마신만 못한 것 같습니다.

 

향이 강한 중국 음식을 입안에서 씻어내주는 용이라곤 하는데 

아직까지 저에게 있어 고량주는 어려운 술인 것 같네요. 

 

묘한 보드카 비슷한 맛은 있는데 뒷맛과 끝향이 강한편이라

다른 음료와 섞어먹기에는 조금 별로고 굳이 마시자면 

요즘 슈거 프리로 나오는 펩시 제로 라임과 섞어마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의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긴 글 읽어주시느라 고생하셨고 술을 찾고 즐기시는데 있어서 

약간이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여러모로 최근에서야 여러 주류를 접하면서 계속 칵테일 재료에 대한

여러가지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알려진 칵테일 재료도 재료지만 최근에는 탄산음료들이

제로 슈거(설탕의 대체제로 만들어진)음료들이 많다보니 

만약에 이런 음료들 중에서도 괜찮은 재료가 있지 않을까 하고 말이죠.

 

300ml 24개를 사서 계속해서 마시다보니 어느센가 다 먹었더군요.

이번 후기를 쓰면서 완전히 박살내고 말았습니다. 

 

24병의 콜라는 죄다 어디로 갔는가...

 

 

특이하게도 재료 중에선 아스파탐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수크랄로스와 아세설팜칼륨이라는 감미료가 들어가는군요.

 

하긴 맛에서도 아스파탐 특유의 맛을 느끼진 못했으니까요.

그리고 몰랐던 부분인데 제로 슈거에도 향미증진제로 카페인이 들어가는 편입니다.

 

 

병이 작다고 그리고 제로 슈거라고 탄산이 적을 거라고 생각은 하진 않았지만

정말 탄산감은 나쁘지 않은 편입니다. 

 

오히려 큰 병들에 비해서 더 괜찮은 편이에요. 

목넘김도 나쁘지 않고 상당히 청량감도 느껴졌습니다. 

우선 향에 있어서는 코카콜라 고유의 향과 약간의 산미가 느껴지는 편입니다.

전체적으로 상쾌한 향과 약한 단내가 나는 편이죠.

 

맛에 있어서는 상당히 깔끔한 단맛, 조금 묘한 감칠맛도 느낄 수 있는 맛이었습니다. 

콜라 특유의 입안에 남는 신맛이 없어서 놀랐습니다.

 

전체적으로 너무 깔끔한 단맛이고 아까도 설명드렸듯 묘한 감칠맛이 

입안에 감돌아서 나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이 코카콜라 제로는 어떤 술의 재료로 좋을 것이냐?라는 질문을 한다면

조금 애매한 것 같습니다. 

 

기존의 콜라가 들어가는 칵테일의 재료로 나쁘지 않은 것 같긴하지만

맛의 간결함이 너무 큰 편이라 콜라 교유의 단맛으로 조화롭던 그런 느낌은 느끼기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들어요.

 

 

하지만 또 다른 면에서보면 서로간의 맛의 조화로움을 더 살려줄 수 있다고도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술의 비중을 늘려야하는데 칵테일의 비율을 맞추기가 힘들것 같아요.

 

차라리 그냥 취함을 위해서라면 무색무취의 보드카와의 조합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싶어요.

하지만 칼리모쵸나 잭콕은 ... 좀 아닐 것 같다 싶네요.

 

물론 제 주관적인 이야기입니다.

 

긴 글 읽어주시느라 고생하셨고 술이나 음료를 즐기고 찾으시는데 있어서 

약간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은 저로써 상당히 기다렸던 후기입니다.

바로 위스키를 입문했기 때문이죠.

 

바로 메이커스 마크입니다.

예전에 월급탓을 때 사놓고 마셔야지 마셔야지 하다가 

결국에는 실직을 하고 이렇게 후기를 쓰게 되는군요. 

[실직을 하고 다른 술에 입문을 하는 사람이 있다??]

200ml두병과 온더락잔 그리고 레시피 카드가 들어있는 기획세트입니다.

 

저는 사실 200ml두병이 아니라 좀 큰병 하나가 들어있는 줄 알았는데...

가격은 37000원정도하더군요.

 

이거 하나면 맥주가 몇캔이야...

 

 

 

Alc 45%, 200ml

맥주에 익숙한 저에게 있어 45%는 강력하군요.

 

원재료명 표기가 상당히 묘합니다.

위스키 원액 89%, 정제수

위스키는 위스키 원액으로 만듭니다. 

그것이 위스키니까...

 

그래서 위스키 원액은 뭘로 만드는데요

내용 구성품은 이렇습니다. 

 

온더락 잔에는 메이커스 마크 병에 파라핀 밀봉을 한다고 하는데

그 영향인지 온더락잔도 그 컨셉을 맞춘것 같습니다.

 

칵테일 레시피는 이렇게 구성이 되어 있더군요.

홈텐딩을 위한 구성이라고 사용하기 좋은 도구와 나름 멋진 칵테일들의

레시피가 적혀 있는 편입니다.

 

하지만 위스키를 통한 칵테일들이 상당히 낯선 구성이더군요.

저는 보드카로 만드는 칵테일인 스크류드라이버같은 단순한 레시피를 기대했는데...

어쩌면 여기에 적힌 구성들이 그나마 집에서도 간단하게 따라할수 있는 구성인지도 모릅니다.

 

 

 

 

처음은 역시 가장 순정이라고 할 수 있는 샷으로 먼저 마셔봤습니다.

 

처음 따랐을 때 묘한 바닐라, 캐러맬 향과 제가 정확하게 느낀거라면

나무 냄새가 비슷하게 나는 편입니다. 

 

그리고 마셨을 때, 한모금 마셨을 뿐인데 목구멍이 후끈해지더군요.

그 후끈함과 다르게 상당히 부드럽고 깔끔한 느낌이었습니다. 

 

버번 위스키가 이런 것인가...?하는 깨달음도 있었죠.

 

맛에 있어서는 처음에 살짝 느껴지는 단맛, 그리고 뒤따라오는 캐러맬의 맛과

끝에 묘한 매움, 묘하게 바닐라맛도 느껴졌습니다.

 

전체적으로 정말 부드럽고 깔끔하다는 인상을 많이 받았어요.

그리고 두번째로 즐긴 방법은 온더락입니다. 

 

맥주같이 저도수 주류에 익숙한 저에게 있어서 

이런 얼큰하게 강한 도수는 너무 터프하더군요...

 

그래 방법은 좀 더 순하게 마시는 거다...

 

확실히 온더락으로 즐겼을 때 조금 더 순하게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얼음이 녹으면서 생기는 물때문에 그런지 단맛과 바닐라맛이

줄어들고 전체적으로 캐러맬의 느낌을 많이 받을 수 있을 뿐 

샷으로 마셨을 때의 느낌이나 맛이 연해졌습니다.

 

차가움때문과 물에 의해서 맛이 많이 희석된 편이지만 

위스키 본연의 맛보다는 같이 먹는 음식과의 조합을 좀 더 생각할 수 있는?

그런 맛이되더군요.

 

처음 입문하는 주류치곤 너무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그리고 한번 마시고 나면 상당히 입안에 남는 여운 때문인지 계속 생각나는 맛?

그런게 있더군요. 

 

긴 글 읽어주시느라 고생하셨고, 주류를 즐기고 원하는 술을 찾으시는데 있어서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날이 추워지는 것도 있고 요즘에 무알콜 맥주에 대해서

조금 관심을 많이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무알콜 맥주중 하나인 하이트 제로0.00 All-Free에 대한

후기를 남기고자 싶네요.

 

맛이 너무 특이해서 무려 4캔이나 마시게 되었습니다. 

 

대형마트 기준으로 1100원대, 하나로마트에선 990원정도하더군요.

 

하이트 제로는 정확하게 분류하자면 탄산음료입니다.

엄연히 맥주라고 부르기에는 애매한편이죠.

[그래서 무알콜 맥주들은 인터넷으로도 구매가 가능합니다.]

 

올-프리라는 명칭을 가지게 된 건 무알콜, 무칼로리, 무당류입니다.

 

사실상 음료와 술에 있어서 가질 수 있는 모든 전투력을 잃었다고봐야겠죠.

 

그나마 장점이라면 통풍의 영향을 줄 수있다는 퓨린이 없다는 점...

물론 제가 최근에 무알콜 맥주에 가장 크게 관심을 가진 점으로 동창에도

퓨린의 영향이 크지 않을까 해서 입니다.

 

물론 이 하이트제로도 고기랑 같이 먹어서 말짱 꽝이지만요...

 

매번 디자인이 리뉴얼될때마다 재료가 바뀌는 기묘한 음료수입니다.

몇년전과 또 달라졌더군요. 

 

눈에 띄는 점이라면 폴리덱스트로스(식이섬유?) 대두다당류,감귤추출물과 복합허브추출분말이

눈에띄는 편입니다.

 

그래도 술을 못마시는 이들을 위해서 맥주 느낌은 제대로 

살렸습니다.

 

풍부하게 잘 일어나는 거품이라던지, 탄산감이나 색이말이죠.

본격적으로 후기를 남기자면 색에 있어서 밝고 투명한 황금색을 띄며,

탄산감은 좀 있는 편입니다.

거품이 일어나긴 하지만 금방꺼지며, 거품이 조밀하지 않습니다.

아마도 맥주의 발효과정이나 맥아의 성분이 적어서 그런게 아닌가 싶네요.

 

향에 있어서는 홉향이라기보다는 좀 쐐한 풀향,쑥향에 가까운 냄새

뭐라 말하긴 어렵지만 고추장에서 맡아본 특이한 향이나는 편입니다.

고유의 향이라기보단 뭔가 이취에 가까운 냄새?가 느껴지더군요.

뭔가 보관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거나 제가 잘못산게 아닌가 싶습니다.

 

맛은 약하게 느껴지는 구수함이나 고소함, 곡물맛이 약하게 나는 편이지만

전체적으로 좀 쐐한 맛, 쓴맛이나며, 대량생산되는 고추장 특유의 끝맛?이 나는 편이에요.

단맛은 전혀 느끼기 힘들고 전체적으로 탄산감이 맛을 감춰서 싱겁게 느껴지는 편입니다.

거기에 입안에 묘한 쓴맛이 남아요.

 

상당히 이해하기가 힘들고 설명하기도 힘든 맛이 납니다.

그냥 전체적으로 제가 원하는 맛은 아니었던것 같네요.

 

아쉬움이 많이 남습니다.

몇년전에 마셨을 때랑 너무 달라진 것 같네요.

그땐 이런 맛이 아니었는데...

 

긴 글 읽으시느라 고생 많으셨고 맛을 즐기고 이해하는데 조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다음 글에서 또 뵙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