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6캔 묶음으로 샀던 레드락 엠버라거[RedRock Amber Lager]를 제가

마시고 느꼈던 점들을 적어볼까 합니다.

 

보통 맥주가 있으면 그걸 마셔본 사람들의 맛 평가글이 올라오기

마련인데 레드락 엠버라거에 대한 평가글을 찾을 수가 없더군요.

 

안보던 사이에 캔 디자인이 바뀌었습니다. 

예전에 막 록스타일보단 지금의 이미지가 더 나아진 것 같네요.

[오리지널과 스타우트때를 생각해보면 처음에 다른 맥주인줄 알았습니다]

레드락 엠버라거는 도수: 5.0%VOL로 먹고 마실때 그렇게 

도수가 높나?라고  생각하기 힘든 감이 있는 맥주입니다.

 

마셔서 취한다기보단 약간의 흥이 오르는 수준이네요.

한가지 특징이 있다면 전분이 들어갔다는 정도라고 볼 수 있는데

제 기억속에 맥주에 전분이 들어가는 건 발포주에서 많이 있었는데 엠버 라거에

전분을 넣는 건 좀 신기했습니다.

 

아마도 발효 과정에서 맥아와 전분을 이용해 맥주의 효모를 키우는 과정에

넣은 게 아닌가 싶네요.

 

디자인이 바뀌면서 몰트와 홉 그리고 IBU와 도수 그리고 컬러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적어뒀는데 [제가 우리나라 사람들을 깔보는 건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이런 걸 확인하면서 맥주를 마시는 건 

아니라서 ] 맥잘알들을 위해서 표기해둔 게 아닌가 싶습니다.

 

뭐 해외에 수출할때도 이런식의 표기를 통해서 마셔보진 않았지만

이런 상태를 표기하고 싶었나보네요.

 

그냥 엠버라거라고 적고 어떻게 따르면 더 맛있는 지에 대해서 

그림설명을 붙이는 게 더 정감가지 않았나싶습니다

 

엠버 라거 특유의 호박색이 눈에 확연하게 띕니다.

적색에 가까울 만큼 찐한 색으로 어떻게 보면 비엔나 라거의 색과 비슷하게

느껴지기도 하네요.

 

맛을 보면 쌉쌀한 맛과 구수함, 그리고 살짝 느껴지는 고소함이 특징입니다.

단맛에 환장하는 제가 봤을 때는 단맛과는 좀 거리가 멀고 쓴맛에 가까우며

끝맛이 약간 좀 텁텁하게 느껴지더군요.

 

하지만 레드락 엠버라거가 항상 표현하는 풍부한 향은 맞았습니다.

엠버 라거라기 보단 에일에 가까운 풍미가 돌면서 양조장에서 맡았던 향이 찐하게

나는 편에 홉의 향이 풍부하게나는 군요.

 

탄산감이 약하고 거품이 생각보다 일찍 꺼지는 편이였습니다.

뭐라고 해야할지... 

오비 프리미어 필스너처럼 탄산과 거품이 일찍 줄어드는 것 같네요.

 

전체적인 목넘김도 나쁘지 않고 향과 맛도 풍부한 편이였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특별하게 강한 향과 맛없이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맥주를 고르라고 한다면

저는 분명 밀러 제뉴인 드래프트를 고를 겁니다.

 

국산 맥주 스타일과 비슷하지만 잘 마셔보면 확연한 차이를 느낄 수

있는 미국에서 건너온 밀러 제뉴인 드래프트[Miller Genuine Draft]는 

밀러만의 특별한 맛이 있기 때문이죠.

 

사실상 미국내에서 버드와이저와 다투고 있는 맥주 중 하나입니다.

 

화질 구지 ㅠㅠ 

국내에서 롯데칠성음료가 수입하고 있으며,

밀러 제뉴인 드래프트는 4.7%도수를 가진 맥주로 

캔 맥주로도 생맥주에 가까운 맛을 자랑하는 맥주입니다.

 

라거 맥주이기 때문에 바디감이 적고 홉의 향을 느끼기 힘든 맥주이죠.

대신에 옥수수 시럽[옥수수가 들어간 대부분의 맥주에서 느껴지는]의 단맛과

그 향을 느끼기 쉬운 맥주라고 평가할 수 있겠군요.

 

[개인적인 경험이지만 옥수수가 들어간 맥주들은 거의 

딱 마셨을 때 밀러에서 느끼던 느낌을 비슷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차고 시원하게 즐길 수 있는 맥주이며

부드럽고 깔끔한 스타일이라 쉽게 넘어가는 편이라 목 넘김이

좋은 편입니다.

 

전체적으로 탄산도 적당하고 거품이 오래가지 않더군요

 

 

맵고 짠 음식이나 기름진 음식과 잘 어울리는 맥주이기도 합니다.

강한 맛이 아니기 때문에 음식 본연의 맛을 살려주는 편이에요.

 

단점이 있다면 드라이한 맛이나 홉의 향과 진한 맥주의 맛을 즐기는 분들에게

있어서는 그렇게 잘 맞지 않는 맥주라는 점...

 

차고 시원하게 마시기 때문에 많은 향을 기대하긴 어려운 맥주입니다.

하지만 이런 분류의 맥주를 즐기는 분들에게 있어서는 더없이 좋을 맥주죠.

 

 

개인적 취향으로는 가볍고 칼칼한 버드와이저보다는 조금 순하고 단 밀러 쪽이 

제 취향입니다.

 

 

밀러 라이트도 따로 있지만 라이트 쪽이 덜 달고 좀 더 산뜻한 맛입니다.

다음에 따로 다루도록 해야겠군요. 

 

한번씩 전용잔이나 묶음 판매행사를 하는 데 

포장된 종이를 보면 항상 티비가 그려져있고 "밀러 타임""이라고 적혀있습니다.

 

아마도 퇴근 이후의 시간을 티비를 보며 밀러를 마시며 그날의 노고를 푸는(?)

게 아닌가 싶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마트에 갔다가 우연히 발견하게 된 진로 와인을 사서

마셔봤습니다.

 

개인적으로 맥주나 발포주를 제외한 다른 술에는 그렇게 인연이

없는 편입니다만 뭔가 가격도 2280원밖에 안해서 호기심에 사게 되었죠.

 

앞의 표지에는 

하우스 와인 레드 와인 (House WINE Red wine)이라고 적혀있습니다.

그리고 밑에는 진로와인

스페인산 적포도주의 맛과 향이 깊고 풍부한 와인이라고 설명이 되어있네요.

 

그리고 하나의 특징이 있다면

코르크 마개대신에 돌려서 따는 뚜껑입니다.

 

뭐 이런 점에 대해서 그렇게 신경도 많이 안쓰고 집에 코르크마개도

없는 저에게 있어서는 나쁘지 않았습니다.

 

 

적포도주원액 16.6%  500ml , 과실주

알코올 10% 로 보기보다는 보수가 있는 편이군요.

 

뭐 기본적으로 맥주가 4.5%~5.0% 사이이니 엄청 낮은 편은 아닙니다.

 

그렇다고 높은 편도 아니네요.적당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포도와인에 여러자기 맛을 내는데 필요한 다른 요소들이 

많이 들어있는 편입니다.

 

 

전체적인 맛은 첫날에 마셨을 때는 약간의 떫은 맛

그리고 포도맛과 진하게 느껴지는 단맛,  살짝 신맛 ,소주 특유의 알코올 맛이

많이 느껴졌습니다.

 

다음날에 다시 마시니까 첫날의 떫은 맛이 줄어들고 

알코올의 느낌도 적고 단맛이 많이 느껴지더군요. 

 

맛이 풍부하다,강하다는 느낌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조금 가벼운 수준?

 

나쁘게 표현하면 포도주스에 소주를 섞은 맛이라는 느낌이

좀 강했습니다.

 

하지만 단맛에 마음이 약한 저에게 있어서는 저렴한 가격에

이만한 맛의 술을 마실 수 있다는 점에서 좋았던 것 같네요. 

 

애초에 맥주만 좋아하는 저에게 있어서는 좀 새로운 도전이였습니다.

 

이 술에겐 정말 미안한 이야기지만 다른 고기를 재어두거나

아니면 요리를 할때 응용하면 어떨까 싶네요.

 

기본적으로 맛 자체가 단편이라 볶음요리나 구이요리에도 사용해도

좋을 것 같고, 같이 먹고 마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필라이트 바이젠 

도수 4.5%

맥아(독일산)/밀맥아(독일산)

합성향료(후르츠믹스향/시트러스향)

오렌지 껍질분말,코리엔더

 

 

 

오늘 제가 접하고 마시게 된 술은 국내에서 출시된 발포주인

필라이트 바이젠입니다. 

 

저번 주부터 마트에 깔렸다고 하는 데 어째서 저는 보지 못했던 걸까요...

뭐 어찌되었든 간에 

 

필라이트 시리즈 초록색/파란색/주황색 이렇게 현재 세가지의 색상별로

시장에 나와있습니다. 

 

하이트진로가 여러모로 독특한 시도를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또 제가 감히 말하자면 아쉬운 점이 너무 많았어요.

 

바이젠이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바이젠 스타일과는 거리가 먼 호가든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싱거운 호가든 말이에요

 

4.5도에 밀과 밀맥아를 넣었지만 제가 항상 마셔보던 바이젠과는 좀 거리가 멀었어요.

향부터 달랐습니다.

 

보통의 바이젠에서 열대과일의 향이 짙게 나는 편이라면 얘는  

오렌지 펄의 분말 때문인지 오렌지향이 짙게 나고 거기에 혼합과일 음료에서

나던 과일향이 살짝나는 편입니다.

 

거기에 맛은 살짝 구수한 보리맛과 싱거움이 느껴져요.

그러니까 코로는 이미 상큼한 과일향을 느꼈고 

입으로 이제 그 과일에 대한 생각을 하면서 바이젠 특유의 

그런 맛이 전혀 느껴지지 않아서 괴리감이 든다는 거죠.

 

약간 신맛이 나지만 단맛이 약하게 느껴지는 편입니다.

쓴맛은 찾아볼수가 없네요.

[차게해서 가볍게 마시는 용으로 계획된 것 같습니다]

 

그래도 이전의 초록색과 파란색과 달리 나름 색다른 도전을 했다는 점에서

장점으로 꼽을 수 있겠네요.

 

그리고 생각과 달리 거품이 촘촘하게 만들어져서

발포주지만 맥주스러움이 있어서 귀여웠습니다.

 

아쉬운점이 있다면 바이젠보단 벨지안 트 바이젠 

 

도수 4.5%

 

맥아(독일산)/밀맥아(독일산)

 

합성향료(후르츠믹스향/시트러스향)

 

오렌지 껍질분말,코리엔더

 

 

 

 

 

 

 

오늘 제가 접하고 마시게 된 술은 국내에서 출시된 발포주인

 

필라이트 바이젠입니다. 

 

 

 

저번 주부터 마트에 깔렸다고 하는 데 어째서 저는 보지 못했던 걸까요...

 

뭐 어찌되었든 간에 

 

 

 

필라이트 시리즈 초록색/파란색/주황색 이렇게 현재 세가지의 색상별로

 

시장에 나와있습니다. 

 

 

 

하이트진로가 여러모로 독특한 시도를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또 제가 감히 말하자면 아쉬운 점이 너무 많았어요.

 

 

 

바이젠이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바이젠 스타일과는 거리가 먼 호가든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싱거운 호가든 말이에요

 

 

 

4.5도에 밀과 밀맥아를 넣었지만 제가 항상 마셔보던 바이젠과는 좀 거리가 멀었어요.

 

향부터 달랐습니다.

 

 

 

보통의 바이젠에서 열대과일의 향이 짙게 나는 편이라면 얘는  

 

오렌지 펄의 분말 때문인지 오렌지향이 짙게 나고 거기에 혼합과일 음료에서

 

나던 과일향이 살짝나는 편입니다.

 

 

 

거기에 맛은 살짝 구수한 보리맛과 싱거움이 느껴져요.

 

그러니까 코로는 이미 상큼한 과일향을 느꼈고 

 

입으로 이제 그 과일에 대한 생각을 하면서 바이젠 특유의 

 

그런 맛이 전혀 느껴지지 않아서 괴리감이 든다는 거죠.

 

 

 

약간 신맛이 나지만 단맛이 약하게 느껴지는 편입니다.

 

쓴맛은 찾아볼수가 없네요.

 

[차게해서 가볍게 마시는 용으로 계획된 것 같습니다]

 

 

 

그래도 이전의 초록색과 파란색과 달리 나름 색다른 도전을 했다는 점에서

 

장점으로 꼽을 수 있겠네요.

 

 

 

그리고 생각과 달리 거품이 촘촘하게 만들어져서

 

발포주지만 맥주스러움이 있어서 귀여웠습니다.

 

 

 

아쉬운점이 있다면 바이젠보단 벨지안 윗 스타일에 가깝다는 점입니다.

그럴꺼면 이렇게 향을 만든 김에 단맛이 더 많이 느껴졌다면 음료수처럼 즐길 수 있었을 것 같네요.

망고링고처럼 말이죠. ㅠ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드디어 제가 이 블로그를 활성화하는 군요.

 

제가 국산 맥주중에서 가장 사랑하는 맥주인

스타우트에 대해서 소개하는 글을 씀으로써 첫 스타트를 해볼까합니다.

 

스타우트는 한국식 다크라거로 

이름은 스타우트지만 기네스같은 스타우트가 아닙니다.

 

아일랜드 영국식 스타우트와는 거리가 있는 물건이죠.

그에 대해서 하도 말이 많았는지 리뉴얼 이후로는 캔 앞에 

라거 타입 / 프리미엄 블랙비어라고 적혀있습니다.

 

첫 등장 시기는 2007년으로 제가 중학생때 한참 광고를 때리면서

출시된 맥주이지요.

 

그리고 사회인이 된 이후로 그 맥주를 마시고 있습니다 ㅋㅋ

 

한때 국맥까였던 제가 국산맥주에 대한 생각을 전향하게 된게

맥주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배운 이후에 처음 접했던 맥주이기 때문이죠.

 

뭐 맥주에 대해서 제가 감히 평가를 하자면

제 입맛에 상당히 맞는 맥주였습니다.

 

탄맛 / 씁쓸한 초콜릿맛 / 커피맛이 살짝나며 쓴맛이나는 맥주는

맥주이며, 다크라거답게 시원한 목넘김과 탄산감이 있는 맥주로 고기와 어울리는

맥주라고 저는 평가하겠습니다.

 

제조시기가 얼마 안될수록 커피와 초콜릿향이 많이 나더군요.

 

수입 맥주들과 비교해서 상당히 저급취급 받고 있지만

제가 봤을 때는 왜 그런 취급을 받는 지 모르겠습니다.

 

비슷한 다크라거를 기회가 되면 사다 마시는 편인데

그렇게 꿇리는 편도 아니라고 생각해요

 

스타우트라는 이름때문에 스타우트에 비교할 수 있지만

엄연히 다크라거임으로 다크라거와 비교해야겠죠 

 

 

(개인적인 생각일지 모르지만

유리병 / 페트병 / 캔중에서 이 맛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용기는 캔인것 같습니다.)

 

 

도수는 5.0%로 생각보다 자꾸 먹다보면 취하는 감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콜향은 적은 편인것 같아요.

 

맥주캔에 적힌 표기에 따르면 

맥아: 호주/ 독일 / 덴마크

전분: 러시아 / 헝가리 / 세르비아

홉: 미국 / 독일로 표기되어있습니다.

 

홈페이지에는  WEYERMANN사의 고급 흑맥아를 사용한다고

홍보가 되어있습니다.

 

뭐 재료를 좋은 걸 써서 그런지 제 입맛에는 풍부하고 

진한 맛을 느낄 수 있어서 좋군요.

 

가성비도 좋고 또 또 또 개인적인 취향이지만

아시아권 흑맥주중에서는 저는 이 스타우트가 제일 좋습니다.

 

여담: 롯데마트에서는 사실상 찾아보기 힘드며,

이마트의 경우 큰 패트로 들어오진 않고 355ml 6캔 묶음

으로 팔고 있고 홈플러스에서는 1600ml패트로만 판매하더군요.

[한정된 장소에만 납품을 하는 모양입니다 ㅠㅠ]

 

 

 

국산맥주중에서는 비싼축에 속하지만

그래도 그 값은 한다고봅니다.

 

 

그리고 생맥주를 마셔볼 기회가 된다면 꼭 한 번 마셔보고 싶네요 ㅠ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