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후기로 남길 맥주는 국산맥주인 

클라우드 칠성사이다 맥주(Kloud Chilsung Cider Beer)입니다.

 

클라우드와 칠성사이다의 콜라보라고 하는데 전형적으로 인싸픽에 맞춘 맥주인것 같습니다.

 

Alc 3.2% / 500ml로 원판보다는 좀 더 낮아진 도수를 가지고 있네요.

색 디자인도 기존의 클라우드의 하얀색, 황금색과 다르게 칠성 사이다 특유의 초록색으로

가득차 있습니다. 

 

뭣보다도 저는 일반적으로 봤을때 얘가 이름은 맥주인데 속은 기타주류

(혼합주류)인줄 알았는데 유형은 또 맥주더군요.

아마 기존에 맥주를 만드는 과정이 끝난 이후에 사이다 맛을 넣은 걸로 생각되어집니다.

 

 

 

의도는 아마도 사이다 맛이 나는 맥주, 더운 여름철에 가볍게 즐기는 컨셉인것 같네요.

특이한점이라면 사이다의 감미료와 레몬라임향이 들어가는 정도?

항상 그래왔지만 저는 인싸픽을 그렇게 신뢰하진 않습니다.

그냥 궁금해서 사먹는 정도로 즐기니까요 

 

본격적으로 후기를 남기자면 

거품이 상당히 못생긴 편입니다.

사이다의 거품도 아니고 맥주의 거품도 아니고 뭔가 탄산화가 덜해진 느낌을 많이 받았어요.

어쩌면 도수를 낮추기위해서 발효과정을 어느정도만 진행한 뒤에 만든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

그래서 그런가 목넘김으로 느껴지는 탄산감도 그렇게 강한 편은 아니었습니다.

맥주쪽도 사이다쪽도 이렇게 약한 탄산을 가지진 않으니까요. 

 

색에 있어서는 연한 황금색에 가깝습니다.

향은 확실히 사이다 같은 레몬향도 나는 편이지만 연한 맥아향이나 홉향이 희미하게 느껴집니다.

묘하게 사이더에서 느꼈던 향도 나요.

묘하게 고수 들어간 맥주의 냄새처럼 느껴집니다. 

 

맛에 있어서는 처음에는 약한 단맛과 사이다 비슷한 맛이 나지만 끝맛에 있어서 

구수한 맥아, 맥주 본연의 맛이 나서 저로써는 이쪽맛도 아니고 저쪽 맛도 아닌 혼란스러운 맛처럼 느꼈습니다. 

그냥 음료수처럼 즐기는 맥주 컨셉을 잡을 거였다면 저라면 탄산감을 늘리고 단맛을 강하게 맞춰서 

차라리 맥주 흉내를 내는 사이다 느낌을 내었더라면 좋았을 것 같아요.

 

이맛도 아니고 저맛도 아닌데다가 끝맛에 또 구수함이 동시에 느껴져서 아쉬웠습니다.

맥주 한 캔에 너무 진지해지는 경험이되었네요.

 

양쪽 취향을 동시에 맞출려는 의도는 좋았지만 제가 봤을 때는 아닌것 같습니다

 

이로써 저의 클라우드 칠성사이다 맥주 후기는 끝입니다.

술을 찾고 즐기는데 있어 작게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길 술은 바로 소주 중 하나인 좋은데이 깔라만시입니다.

나온지 제법된 술이지만 저는 최근에서야 접하게 되었죠.

 

나름 희석식 소주중에 리큐르에 속하는 술이죠.

예전에 인싸들 사이에서 유행했다는데 ... 

 

Alc 12.5%/ 360ml 로 소주의 도수를 가지고 있는 편입니다.

디자인에 큼직하게 깔라만시를 붙여두고 앞에 붉은 색으로 과즙함유라고 적어뒀네요.

 

병도 그렇고 내용물도 투명한 색입니다.

 

 

눈에 띄는 건 깔라만시 농축액과 여러 감미료뿐 특별하게 눈에띄는 건 없는 편이네요.

그저 리얼 신의선물 깔라만시라는 문구가 눈에 띄는 것 뿐 ㅋㅋ

 

향에 있어서는 약한 알코올 향과 향긋한 오렌지,레몬에 가까운 냄새가 나는 편입니다.

예전에 재미삼아 손소독용 알코올에 한라봉 껍질을 잘게 썰어 담은 적이 있었는데 

그 냄새와 상당히 유사한 냄새가 나는 편입니다.

 

전체적으로 좀 가벼운, 깔끔한 레몬,깔라만시와 비슷한 맛이 나는 편이며,

신맛은 적고 단맛이 느껴지는 편입니다.

 

대신에 전체적으로 싱거운 감이 강해서 술 자체의 맛은 강하지 않아요.

전체적으로 음식의 맛을 죽이지 않게 하기 위해 약하게 만든 것 같네요.

 

단맛이 나고 과일향과 과일맛이 나는 건 소주를 싫어하는 분들이 가장 꼽는 이유중 하나인

알코올 특유의 맛을 감춰주는 건 좋았습니다. 

 

그래도 전체적으로 너무 가벼운 느낌이 있다보니 술에 취하는 느낌도 적어요.

 

생선 요리나 회와 잘 맞을 것 같습니다.

주로 하얀살의 생선과 잘맞을 것 같네요. 

 

아쉽게도 매운 음식과는 또 잘맞지 않았습니다. 

또 짠 음식이나 기름진 음식과도 잘맞을 술인 것 같아요.

 

소주를 잘 알진 못하지만 나름 재밌는 경험이었던 것 같습니다.

오늘 저의 좋은데이 깔라만시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술을 찾고 즐기시는데 있어 작게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길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길 맥주는 중국맥주인 칭따오 맥주(Tsingtao Beer)입니다.

분명히 여러번 먹었는데 어째서인지 후기를 한번도 안적었더군요.

 

거기에 칭따오 쿨러팩을 사면서 덤으로 후기를 남겨야겠다 싶더군요.

전체 색은 초록색,황금색, 빨간색이 특색입니다. 

 

칭따오하면 양꼬치류와 궁합이 잘맞는다는 말이 있지만 

예전에 텔레비 매체에서는 본토쪽은 조개류랑 잘맞는다고 하는데 저는 볶음밥류나

건어물과 잘 맞는 것 같아요. 

 

밀맥주와 스타우트도 마셔봤지만 저는 오리지널쪽이 더 좋은 것 같습니다.

특징이라면 쌀이 들어가는 정도? 

 

 

앞 뒤로 디자인이 다르긴 한데 그래도 칭따오라는 티가 많이 나는 군요. 

 

 

 

 

전체적으로 탄산기도 강하고 거품이 잘 나긴 하지만 

거품이 금방 꺼지는 편이며, 향에 있어서는 상쾌한 홉의 향과 

고소한, 달달한 곡물 향이 나는 편입니다.

 

색은 전체적으로 연한 황금색이라 라거 맥주라는 티가 잘나요.

 

쌀의 영향인지 전체적으로 맛은 깔끔하며, 입안에 처음에는 단맛과 구수한 맛

그리고 상쾌한 맛이 많이 느껴지는 청량한 맥주라고 설명드릴 수 있겠네요.

 

전체적으로 가벼운 편이기 때문에 다른 음식을 먹을 때 맛을 해치지 않고

입안을 씻어주는 편입니다.

 

매운 음식, 짜고 기름진 음식과도 잘 맞을 맥주죠.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저는 위에서도 언급했듯 건어물과 정말 잘맞는 맥주인것 같습니다.

 

오늘 저의 칭따오 맥주 후기는 여기까지이며

맥주를 찾고 즐기는데 있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군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길 음료는부르르 제로콜라입니다.

제로의 시대에 앞서서 여러가지 제로음료수들이 나왔고 

인터넷을 찾던 도중 저는 국산 음료수들 중에서도 콜라중에 제로음료가 있을거라고 생각해서

찾다가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빨간색에 검정색 그리고 뭔가 도끼자루같이 생긴 캐릭터가 그려져 있는 상당히 

특이한 디자인입니다. 

 

사실 색 배치는 아마도 코카콜라 제로 리뉴얼 디자인과 비슷한 색 배치인것 같아요.

이해는 안가지만 대부분의 제로음료수들은 항상 검정색 배경을 사용하던데 

뭔가 룰로 정해진 모양입니다.

 

사이다라던지... 콜라라던지 

 

 

 

여러 재료가 들어가있음을 알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카페인이 

얼마인지 표기가 안된게 좀 아쉽습니다.

카페인 프리버전도 있긴 하지만 카페인 프리를 내기전에 본판에도 카페인 표기를 먼저 해줬더라면...

저는 정말 좋았을 것 같네요. 

 

청량감 자체는 강한편에 탄산감도 제법 되는 편입니다.

목넘김도 나쁘지 않고 탄산음료 본연의 목을 때리는 감이 상당히 강한 편이에요.

개인적으로 이런 청량감을 상당히 좋아하는터라 저는 오히려 좋았습니다.

 

향에 있어서는 연한 콜라의 향과 약한 단내와 적은 신냄새가 나는 편이며,

맛에 있어서는 다른 제로콜라들과 비교했을 때 기분좋은 깔끔한 제로콜라의 맛이나는 편입니다.

 

조금 싱겁다거나 다른 맛을 느끼기가 힘들다는 점이 있지만 

그럴꺼면 펩시제로 라임을 먹어야 했겠죠.

 

여러모로 저는 맛있게 먹었습니다.

깔끔함과 다른 걸 섞어 먹었을 때 

예를 들어 고량주나 위스키등을 탔을 때 콜라의 맛과 술 본연의 맛 둘다 즐길 수 있어서

저는 좋았습니다.

 

콜라쪽의 맛이 섞은 술의 맛을 많이 해치지 않아서 어쩌면 기본적인 탄산음료로써의 매력과

칵테일 재료로써의 매력 둘다 가졌다고 생각하거든요.

레몬쥬스를 탄다거나 아니면 라임쥬스를 타는 방식을 통해서 좀 더 다양한 맛으로 즐길수 있을 것 같아

저는 상당히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30캔을 사서 14캔이나 마시면서 후회를 한 적은 없는 것 같아요.

국산 제로콜라로써 이 시장에서 잘 살아남아줬으면 좋겠습니다. ㅠㅠ 

 

저의 부르르 제로콜라에 대한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음료를 찾고 즐기는데 있어 작게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길 맥주는 아르헨티나에서 온 친구입니다.

바로 파타고니아 보헤미안 필스너(Patagonia Bohemian Pilsener)죠

 

예전부터 자주 눈에 띄였던 맥주지만 최근에서야 이렇게 접하게 되었습니다.

원래는 더 빨리 마셔보고 싶었는데... 어쩌다가 이렇게 늦게 먹어보게 되었는지 ㅠㅠ

 

Alc 5.2% / 495ml의 맥주입니다.

5ml는 어디갔냐구... 그래도 일반적인 맥주들이 4.5%지만 얘는 0.7정도 높은 편이에요.

물론 저는 도수에 그렇게 민감한 편도 아니고 그냥 여타 맥주에 비해 전투력이 0.7정도 높구나 하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캔 디자인에는 아르헨티나와 칠레 사이에 있는 파타고니아 지역이 그려져 있어요.

여름철에 무척 더운 걸로 알고 있는데 그런 기후의 특색을 반영한 맥주인지는 아래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재료들은 평범한 맥주이지만 좀 애매하게 표기된게 "밀 혼입 가능성이 있음"

있으면 있는건데 또 가능성이 있음은 또 뭔지 모르겠네요.

 

밀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게 있어서는 슈뢰딩거의 밀 함유가 아닐지 ;; 

 

 

거품은 어느정도 일어나는 편이지만 막 조밀한 편은 아닙니다.

탄산감도 어느정도 있어요.

대신에 또 거품은 금방 꺼지는 편입니다.

 

향에 있어서는 홉향과 풀향 고소한 곡물 빵의 향이 나며 

묘한 쇳내와 씁쓸한 향이 나는 편이에요.

 

색은 전체적으로 진한 갈색에 가까운 어두운 황금색

 

처음에 마셨을 때 입안에 쓴맛과 신맛이 살짝 훑고 가며,

또 묵-직한 구수함과 고소함에 마지막에 약한 단맛이 느껴지는 편입니다.

입안에 전체적으로 쓴맛과 구수함이 오래 감도는 느낌이에요.

좀 무거운 편이라서 깔끔함과는 거리가 먼 편입니다.

 

스테이크처럼 구운 고기류나 튀김과도 잘 맞을 것 같네요.

여름 더운 시기에 차갑게,시원하게 마시면 정말 좋을 맥주일 것 같습니다.

파타고니아의 여름에 가장 높을때가 40도정도까지 오른다고 하는데 정말 그런 날씨에 잘 어울릴 맥주맛이네요.

 

자기 주장이 조금 강한 편이라 짭짤한 음식과도 잘 어울릴 것 같아요.

짧은 경험이었지만 정말 입안에서 즐거움을 느끼기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저의 파타고니아 보헤미안 필스너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술을 찾고 즐기시는데 있어 작은 이정표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삼을 맥주는 국산맥주인 카스 화이트 

(Cass White)입니다. 

 

밀맥주(Wheat Beer)스타일에 라거에 가깝게 만들어낸 맥주 컨셉을 잡은 맥주죠.

솔직히 저는 사기전에 상당히 많은 기대를 했습니다. 

 

4캔 팩으로 팔고 있는데 생산시기가 2얼 17일쯤인데 

정작 제가 사는 지방쪽에는 최근에 팔기 시작했습니다.

(글을 쓰는 시점은 6월 21일)

 

기존의 파란색과 달리 밀맥주에 좀더 신선한 느낌을 주고 싶었는지 이름도 화이트

캔도 하얀색입니다. 

이래 놓으니 뭔가 클라우드가 생각이나네요 

 

 

Alc 4.5% /473ml로 500ml가 되지 않습니다.

좀 의외긴해요.

 

처음에 보기만 했을 땐 500ml일줄 알았지... 

솔직히 저는 소개란에서 MZ세대를 중심으로~ 라는 이 문구가 상당히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MZ세대라는 표현 자체가 너무 억지밈에다가 굳이 맥주를 좋아하는 층, 남녀노소라는 표현을 적어도 좋을 걸

왜 굳이 계층을 나눠다가 표현했는지 모르겠어요. 

 

 

저는 벨기에식 밀맥주인줄 알았는데 사과펙틴이 들어갑니다.

오렌지 껍질의 대용인것 같은데... 아쉽게도 맥주에서는 사과향과 비슷한 향을 느끼긴 힘들더군요.

 

 

향에 있어서는 곡물의 향과 약한 풀향 비슷한 냄새가나는 편입니다.

사과향도 다른 과일의 향도 나진 않아요., 

 

전체적으로 거품은 잘 일어나지만 또 금방 꺼지는 편입니다.

탄산기는 적은 편.

 

맛에 있어서는 처음에는 신맛과 뒤에 쓴맛 묘한 단맛과 상쾌한 느낌은 나는 편입니다.
전체적으로 상당히 싱거운 느낌이 강해요. 

 

좋게 말하면 가볍게 즐길 수 있고 다른 음식과 잘 맞을 맛이라고 설명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특색이 모자란 것 같습니다.

 

맛이 특색 있는 것도 아니고 향이 좋은 것도 아니라서 저는 전체적으로 

마음에 안들어요. 

그냥 취하려고 마시는 용인지 맛이나 향을 즐기는 용은 아닌것 같습니다.

 

차라리 사과향이 많이 내서 사이더와 비슷하게 만들거나 아니면

벨기에식으로 만들거나 했었더라면 좋았을 것 같아요.

 

너무 무리해서 새로운 맛을 내는 것보다 어쩌면

예전의 레드나 레몬을 새로 리뉴얼해서 내줬으면 더 좋았을 것 같은 아쉬움...

 

전체적으로 아쉬움이 너무 많이 남는 경험이었습니다. 

 

저의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맥주를 찾고 즐기시는데 있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음식을 먹을 때 가끔은 술보다도 음료를 찾게 되는 날이 있습니다.

오늘은 탄산음료중 하나인 원에이엠 스파클링 애플에 대한 후기를 남겨보는군요.

 

사실 운동하기 위해 산 닭가슴살 패티와 샐러드를 샀을 때 따라왔습니다 ㅎㅎ

 

뭔가 생긴것과 이름만으로 맛을 유추했을 때는 그냥 탄산수에 

사과향만 살짝 입혀서 탄산수 특유의 쓴맛과 떫은맛이 날것 같았습니다.

 

항상 사람은 그간 겪어본 일들을 통해서 지레짐작하게 되는 것 같네요.

 

 

여러 감미료와 향료가 들어가는데 0kal라고 쓰여있네요.

하긴 뭐 다이어트 관련이다보니 칼로리를 신경쓰는 분들에겐 민감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물론 저는 그런걸 전혀 신경 안쓰지만 말이죠.

술을 좋아하는 사람이 그런걸 다 신경쓰면 올 프리 무알콜을 마셔야겠죠. 

 

탄산이 어느정도 강한 편에 따르자말자 사과향이 나는 편입니다.

전체적으로 단내가 많이 나요.

 

0칼로리 음료 치곤 단내가 적극적으로 나서 의외였습니다. 

 

우려와는 달리 그냥 사과맛이 나는 사이다같은 느낌이었습니다.

전체적으로 떫과 쓴맛은 전혀 없고 단맛이 많이나는 탄산음료였죠.

 

요즘은 제로칼로리 음료가 정말 잘나오는 것 같습니다.

제로 칼로리라는 기본적인 취지와는 먼 이야기지만 이 탄산수에

술을 섞어 칵테일처럼 즐겨야한다면 어떤 술이 좋을지 고민해봤습니다.

아마도 보드카나 위스키가 좋지 않을까 싶네요.

 

얘가 총량이 350ml니까 150ml에 샷잔으로 1-2잔정도 섞는다면 

음료처럼 즐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음료도 즐기고 이걸 어떻게 활용하면 더 좋을 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던것 같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저의 원에이엠 스파클링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요즘 정규직 전환을 준비한다고 뭔가 마시거나 후기를 남기기가 좀 힘든 것 같습니다.

그래도 오늘은 나름 기분이 좋은 날이라 술을 한 잔 했습니다.

바로 별빛 청하 스파클링이죠.

 

청주와 화이트와인를 섞은 기타주류입니다. 

전형적으로 인싸감성을 겨냥한 술이 아닌가 싶네요.

Alc 7% / 295ml로 나름 가벼운(?)편이지만 맥주와의 비교에 있어서는 

도수가 생각보다는 있는 편입니다.

 

솔직히 저는 살때만 하더라도 5%이하라고 어림 짐작만 했거든요. 

 

 

청주와 화이트와인과 여러 식품첨가물이 들어있으며,

의외로 밀이 함유가 되어있습니다.

 

밀 알레르기가 있는 분에겐 미안한 이야기지만 좀 조심하시는게 좋겠네요. 

확실히 청주와 화이트 와인을 섞은 형태라 그런가 한 병을 다 비우고 지금 후기를 쓰는 시점에는 좀 약한 숙취가

있는 편입니다.

 

약간 두통이 오는? 편이에요. 

 

 

탄산기가 조금 있긴 하지만 그렇게 강한 편은 아닙니다.

딱 혀와 목으로 느꼈을 때 아 탄산이 있는 편이구나 라는 걸 느낄정도죠.

 

전체적으로 와인에서 느껴지는 포도향과 신내 그리고 약한 쌀로 만든 술 특유의 향이

나는 편입니다. 

거기에 약한 단내가 풍겨요.

 

 

 

맛에 있어서는 처음에는 살짝 톡쏘는 맛과 함께 단맛과 신맛이 나며,

강한 맛은 아닙니다. 

 

음료수처럼 즐기기에는 가벼움과는 거리가 멀고

술로써 즐기기에는 못미치는 딱 중간의 느낌입니다. 

입안에 신맛이 좀 오래 남아요.

 

그래도 음식의 맛을 해치는 수준은 아니라서 좋더군요.

회와 먹었으면 좋겠지만 저는 어묵과 함께 먹었는데도 잘 맞았습니다.

 

여성분들이 좋아할 것 같은데... 차라리 좀 더 단맛에 신맛을 줄였다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청주의 새로운 도전같아서 좀 특별한 경험인것 같습니다.

그래도 오리지널 청하의 깔끔함에 가까우면서도 또 다른게 특색은 있네요.

 

저의 별빛 청하 스파클링에 대한 후기는 여기까지입니다.

술을 찾고 즐기는데 있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2022.04.26 - [술술술 다양한 술을 만나다/칵테일] - (와인)사르미엔토 그란 레세르바 카르미네/ 샹그리아 만들기

어제 샹그리아를 만드는 법에 대해서 다뤘습니다.

 

오늘은 그냥 간단하게 샹그리아가 뭔지에 대해서 다루고자 합니다.

 

우선 샹그리아(Sangria)는 서유럽쪽과 스페인과 포르투칼에서 와인을 베이스로 한 칵테일이자 음료이며,

일종의 펀치(Punch)음료에 가까운 음료라고 생각합니다.

 

과일+와인+탄산수 or사이다 이렇게 섞어 만들어지는 혼합주죠. 

 

3시간에서 하루정도 숙성시킨 뒤에 마신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칵테일과는 좀

성질이 다른 것 같습니다.

 

제때 빠르게 조합해서 만들어지는 다른 칵테일에 비해서 제법 시간을 들여 만드는 점이

달라요.

 

 

즐기는데 있어 탄산수냐 아니면 사이다냐에 대해서 나뉠 수 있는데

저는 보다 음료수처럼 즐기기에는 사이다가 좋고 술로써 즐기기에는 탄산수가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또 도수를 고유하게 즐기는데 있어서는 사이다나 탄산수를 조금만 넣는 게 맞는 것 같네요.

정말로 음료로 즐긴다면 사이다나 탄산수를 많이 넣는 걸 추천합니다.

 

넣은 과일의 향과 맛을 즐길 수 있다는 점과 쉽게 그리고 맛있게 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매력적인 음료인것 같습니다.

 

거기에 와인에 담궈진 과일을 먹는 것도 나쁘지 않아요,

와인이 젊잖고 고상한 이미지라면 샹그리아는 좀 샌님티를 벗고 

상당히 쉽고 친숙하게 다가오는 맛인 것 같습니다.

 

어려운 사교모임보다는 즐거운 파티에 어울리는 술(?)이라고 저는 설명드리고 싶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

오늘 후기로 남길 술은 간만에 와인입니다.

 

바로 사르미엔토 그란 레세르바 카르미네죠.

전에 후기로 남겼던 와인은 

 

2021.10.06 - [술술술 다양한 술을 만나다/기타 주류] - (와인)사르미엔토 그란 레세르바 까베네 소비뇽 후기

 

이었고 이 친구와 같은 선물세트에 있던 와인입니다. 

사실 와인은 항상 신기한 술 정도로 생각되어집니다.

 

기묘한 맛과 음미하기 힘든 어려운 술 정도로 말이죠.

 

칠레산 와인입니다.

 

분명히 와인도 효모에 의해 발효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술인데

맥주만큼 와닿지 않는지 궁금하네요.

 

Alc 13.5 % / 750ml 로 도수는 제법 있는 편입니다.

반주로 입가심용으로 마시는 술이라고 하지만 생각보다 취기가 쉽게 오는 술이라고 생각해요. 

 

 

천원짜리 와인 잔에 담는 모습

 

우선 향에 있어서는 달콤한 포도향이 나며 묘한 신내, 효모 특유의 냄새가 나는 편입니다.

어쩌면 제가 보관을 개판으로 해서 이미 식초가 되었는지도 모르죠.

 

맛에 있어서는 처음에는 신맛, 쓴맛, 떫은 맛이 나며 

단맛을 느끼기 힘들며, 과실주 특유의 과일 맛이 나지만 

전체적으로 입안에 감도는 맛은 쓴맛에 가까운 편입니다.

 

단맛은 느끼기 힘들고 좀 무겁게 느껴지네요. 

와인에 붙여진 설명표에는 "좋은 구조감 그리고 복합성이 잘 반영되어 있는"이라고 

하지만 저로써는 구조감이 뭐고 복합성이 뭔지 모르겠습니다. 

 

고기나 스테이크를 먹을 때 잘 맞을 것 같다~, 고기 먹은 뒤에

입안을 조금이나마 다른 맛으로 환기시켜주는 거에 가깝다고 생각해요.

 

정말... 어려운 술입니다.

 

한 잔 하고 곰곰이 생각해보니 샹그리아를 만들어보고 싶어서 

난생 처음 샹그리아 만들기에 도전 해봤습니다.

이런 포도주에는 샹그리아가 딱이야... 

 

각종 과일과 설탕을 준비합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오렌지, 사과, 레몬을 준비했죠.

 

사진에서는 설탕을 먼저 밑에 깔았지만

다 만들고 보니 과일을 차곡차곡 쌓고 위에 설탕을 뿌린 뒤에 

와인을 붓는게 정상인것 같습니다.

 

우선 설탕을 처음에는 세 숟갈 정도 넣었는데 

가장 큰 이유는 이 와인에서는 단맛을 느끼기 힘들어서 입니다.

그냥 스위트 와인의 경우에는 설탕을 안 넣어도 되겠더군요. 

 

오렌지를 썰고 

 

 

사과도 썰어줍니다. 

 

물론 모든 과일들은 잘 씻는게 좋겠죠. 

 

 

레몬도 썰어주고 

 

 

와인을 부어주는 걸로 마무리 합니다. 

 

 

세시간 뒤에 마셔도 된다고 하지만 저는 내일 마실 생각입니다.

 

이로써 스페인 국민 음료 샹그리아가 만들어졌네요.

 

나름 재밌는 경험인 것 같습니다.

 

이렇게 처음으로 후기글과 칵테일을 만드는 글을 합쳐봤네요.

저의 후기+칵테일글은 여기까지입니다.

항상 술을 찾고 즐기시는데 있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